판다 육식 장면 포착. 산시성 포핑 국가급자연보호구 관리국
1일 중국 신화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산시성 포핑 국가급자연보호구 관리국이 판다의 육식 장면을 목격했다.
관리국은 최근 판다 집단의 생존 실태를 파악하는 조사 작업을 벌이고 있다. 그러던 중 판다 한 마리가 비탈길에 앉아 대나무가 아닌 동물의 뼈에 붙은 살점을 갉아먹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본 리수이핑 관리원은 “50m 거리도 안되는 곳에서 지켜보고 있었다”며 “대나무가 없으니 뭘 먹을 수 있겠냐”고 말했다.
판다 육식 장면 포착. 산시성 포핑 국가급자연보호구 관리국
대나무를 먹는 판다의 일반적인 배설물은 초록색이다. 하지만 이 근처에서 회색에 가까운 배설물이 발견되기도 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이곳 포핑 자연보호구에서 판다가 육식하는 모습이 포착된 건 이번이 두번째로 알려졌다.
야생 판다들의 육식 행위를 두고 먹이가 없어 그런 것 아니냐는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판다 전문가 그룹의 일원인 리성 중국 베이징대 연구원은 “친링산맥과 민산 그리고 라이산 등 여러 지역에서도 야생 판다는 가끔 특별식을 즐긴다는 연구가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런 행동으로 동물성 먹이를 보충하는 것이 야생 판다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 지 이해라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판다 육식 장면 포착. CCTV 캡처
판다의 먹이는 99%가 대나무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판다의 소화기관과 치아 구조, 유전자 발현 등은 육식동물과 비슷하지만 식성은 초식동물인 셈이다.
과학자들은 판다는 과거 육식동물에서 초식동물로 진화했지만 상당히 비효율적인 육체구조를 갖춘 것으로 보고 있다. 좋아하는 것만 먹을 수 있게 일부 기관만 진화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판다가 먹는 음식이 아닌 영양소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는데, 판다가 실제 체내에서 흡수하고 소비하는 영양소는 대부분 단백질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판다는 초식동물에 속하지만 실제 섭취된 영양소의 구성으로 보면 육식동물에도 속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판다의 소화관 형태와 소화 효소, 장내 미생물 등은 초식동물이 아닌 육식동물에 더 가깝다고 분석했다.
결국 판다는 식물을 많이 먹지만 식물에서 육류보다 훨씬 적게 든 단백질을 최대한 흡수하고, 셀룰로오스 등 풍부한 식이섬유는 대부분 배출하는 상당히 비효율적인 영양활동을 하는 동물이다.
하루 15시간씩 먹는 것에만 시간을 소비하는 이유도 이처럼 영양소 흡수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판다는 두개골과 턱뼈, 이빨, 줄기를 잡는 근육 등 대나무를 잘먹기 위한 방향으로 진화했지만, 실제 영양소 섭취 측면에서는 효율이 떨어져 환경 적응력이 상당히 낮은 동물인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