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는 스타트업 생태계 형성
창업 커뮤니티 형성도 시작돼
제주 스타트업 투자회사도 많아
글로벌 성공 스타트업 기대 높여
본사 위치는 이제 중요하지 않아
임정욱 TBT 공동대표
조아름, 유제승 대표는 전자도서관 시스템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떠오르는 대양정보라는 회사를 제주에서 창업해 운영하고 있다. 도서관 정리 업무에서 반드시 필요한 문헌자동화목록(MARC) 작성을 자동화해 주는 기술을 개발해 전국의 도서관에 보급하고 있다. 국회도서관과 전국의 주요 대학 도서관들이 이미 대양정보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고 있다.
제로포인트트레일 유아람 대표는 말 그대로 해발 0미터인 제주 해안에서 한라산 백록담 정상까지 31㎞를 걸어 오르는 여정을 프로그램화했다. 각 지점에서 GPS로 인증하고 목표를 달성하면 완주 인증서를 제공한다. 해수면 위치에서 산 정상까지 오르는 이런 도전을 시투서밋(Sea to Summit)이라고 하는데 유 대표는 이 프로그램을 서울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제주박스 이현경 대표는 제주의 물류 문제를 해결하는 창업가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제주도민들은 온라인으로 물건을 주문해도 배송이 늦기 일쑤다. 또 신선식품이나 가구 등은 배송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 대표는 제주로 오는 화물차의 30%는 유휴공간으로 남는다는 것에 착안해 이 공간을 활용, 가구, 식품 등의 배송을 가능하게 했다. 그리고 콜드체인 물류 시스템을 구축해 새벽, 당일 배송을 제주에서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애쓰지마 임동현 대표는 낚시인을 위한 정보 앱인 ‘어신’을 만들었다. 이 앱을 이용하면 낚시를 나갈 때 필요한 날씨, 물때, 해류, 바람, 조황 등 각종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낚시를 즐기는 위치에 따라 어떤 어종을 낚을 수 있는지 입질확률 서비스도 제공한다.
제주의 관광 콘텐츠를 기반으로 제품, 서비스를 시작해 확장해 나가는 기업이 있는가 하면 아예 처음부터 전국 시장을 겨냥해 성장해 나가고 있는 기업도 많았다. 제주 출신 창업자도 있지만 삶의 가치, 의미를 찾아 육지에서 제주로 이주해 와 여러 가지 시도를 하다가 창업에 이른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제주는 살기 좋은 데다 창업 지원 프로그램도 잘돼 있고 서울을 오가는 것도 어렵지 않아 창업 조건이 좋다고 했다. 천혜의 관광자원을 가지고 누구나 살아 보고 싶어 하는 제주는 이제 스타트업 생태계가 본격적으로 형성되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
창조경제혁신센터, 청년창업사관학교가 제주도에도 생기면서 지역에서도 창업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됐으며 창업 커뮤니티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규모는 크지 않지만 지역에서도 개인투자조합 등 초기 투자를 위한 펀드가 생기고 있다. 일회성 창업 지원금보다 이렇게 펀드로서 마중물 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공한 스타트업에서 회수한 자금으로 재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지역에 투자하는 투자자 커뮤니티를 형성시키는 방법이기도 하다. 이미 크립톤, 위벤처스, 미스크 등 제주 스타트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서울의 투자회사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지역에 있는 스타트업이 커 봐야 얼마나 클 수 있을까 하는 편견이 있다. 자리를 잡더라도 스케일업은 어렵지 않으냐는 것이다. 하지만 이번 제주 방문을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봤다. 훌륭한 창업자가 지역에서 창업하고 충분한 투자가 이뤄진다면 전국적으로, 아니 글로벌하게 성공하는 스타트업이 충분히 지역에서 나올 수 있다.
불과 7~8년 전만 해도 서울에서도 유니콘 스타트업은 나오기 어렵다고 다들 생각했다. 그런 큰 스타트업은 실리콘밸리에서나 나올 수 있다고 여겼다. 하지만 이제 15개 정도의 유니콘 회사가 나왔고 계속 쏟아질 전망이다. 물론 다 수도권에 있다. 한국의 스타트업 생태계가 그만큼 활성화된 덕분이다.
이제 또 한 7~8년이 지나면 지역에서 유니콘이 나올 수 있지 않을까. 아니 유니콘이 된 기업이 지역으로 내려갈 수도 있겠다. 팬데믹으로 인해 누구나 어렵지 않게 원격으로 일하는 문화가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정착되고 있어 이제 본사 위치는 중요하지 않게 될 전망이다. 이처럼 지역 스타트업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할 이유가 많다. 수도권의 스타트업붐이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다.
2021-09-13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