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열린세상] 대통령의 설거지/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

[열린세상] 대통령의 설거지/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

입력 2021-09-09 17:36
업데이트 2021-09-10 03: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
코로나19 유행으로 ‘코로나 이혼’(Covidivorce)이란 말까지 생겼다. ‘코로나’(Covid)와 ‘이혼’(Divorce)을 합친 신조어다. 부부가 집에 함께 있는 시간이 길어지고 실업과 폐업 등 경제적 문제로 인해 이혼이 늘어날 것을 지레 상상했나 보다. 예상과는 달리 지난해 이혼은 오히려 줄었다. 그러나 이혼 상담은 늘었다고 하니 틀렸다고 단정하는 것도 시기상조다.

과거 남편을 ‘바깥양반’, 아내를 ‘안부인’이라 불렀다. 남자는 밖에서 돈 벌어 오고, 여자는 집안일하던 역할 구분은 무너진 지 오래다. 그럼에도 여전히 부부의 공평한 가사 분담은 드라마 속의 장면이다. ‘코로나 이혼’이란 말이 생긴 것도 가사 분담에 대한 인식이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고 잠재된 문제가 터진 탓이다. 코로나19가 많은 일상을 변화시켰다. 변화 초기에는 불안정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 위기로 치달아 걷잡을 수 없는 지경이 될 수도 있다. 잘 관리하면 쉬 안정되고 오히려 기회가 찾아오기도 한다. 코로나19의 유행이 가져다준 일상의 변화는 이혼의 위기로 가져다줄 수도 있지만, 반대로 부부의 사랑을 확인하는 기회로 만들 수도 있다.

아내는 직장인이자 두 딸의 엄마로, 그리고 며느리이자 딸로 살아가는 슈퍼우먼이다. 집안일을 하다 보면 아내와 서로 자기가 맞다고 우기는 경우가 있다. 특히 아내와 나는 주방에서 일하는 방식이 다르다. 아내는 음식을 만들고 식사를 마치고 나서 설거지를 한다. 나는 음식을 하면서 중간중간 설거지를 한다. 어떤 방식이 더 낫다고 단정할 수 없다. 주어진 상황에 따라 장단점이 있다. 어쩌다 요리를 하는 나야 간단한 요리 한두 가지가 전부이니 혼자서 요리와 설거지를 동시에 하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다. 반면 나름 손이 많은 훌륭한 요리를 준비하는 아내에게 설거지까지 함께 하기란 쉽지 않다. 어차피 주방과 식사 공간이 분리돼 있다면 굳이 바쁜데 혼자서 요리와 설거지를 같이 할 이유는 없다.

반면 설거지할 것이 너무 널려 있으면 요리를 하는 데 방해가 될 수도 있다. 설거지할 것이 많다고 초대한 누나나 여동생에게 맡기는 것도 그렇다. 혹여 설거지하다가 귀한 그릇이라도 깨뜨리는 날에는 뭐라고 하기도 어렵다. 최근 배달음식이 유행이라지만 설거지가 싫어 밖에서 시키다 보면 쓰레기만 잔뜩 쌓이게 된다. 설거지든 쓰레기든 너무 많으면 어느 순간 치우는 게 겁부터 난다. 오래 쌓아 두어 썩기까지 한다면 가족의 건강까지 해칠 수 있다.

설거지를 좋아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러나 아내가 요리를 했다면 설거지는 남편이 할 수도 있다. 미국 대통령을 지낸 버락 오바마도 저녁식사 후 설거지를 하며 오히려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시간을 가진다고 한다. 개인적 취향이지만 아내가 쓰레기 버리기와 설거지 중 한 가지를 선택하라면 난 늘 고무장갑 끼는 것을 마다하지 않는다. 서로 일을 나누면 쉽게 끝날 일이다. 아내의 가사노동량을 생각하면 지금껏 나의 집안일은 가사 분담이라 하기엔 쑥스러운 수준이다. 분담한다기보다 아직 도와준다는 생각이 앞서는 것도 문제다. 도와주는 것이 아니라 공평하게 분담하는 것이 현명하게 사는 것이고 가정의 평화를 지키는 길이다.

어릴 때 보이스카우트 첫 캠핑에서 배우고 들었던 캠핑을 하고 떠난 자리에 흔적을 남기지 않아야 한다는 것과 캠핑을 허락한 대자연에 고마워하라는 말이 떠오른다. 이제 이번 정부도 얼마 남지 않았다. 그간 한반도 평화와 번영을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이 있었고 분명 훌륭한 성찬을 차렸다. 2018년엔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새로운 평화를 맛보기도 했다. 이제는 새롭게 한반도 평화의 만찬을 준비하기 위해 설거지도 해야 할 때다. 그것이 정권을 허락한 촛불 시민에 대한 최소한의 고마움이다.

한반도에서 남과 북이 살아가는 방식은 다르다. 누가 맞고 틀리고의 문제가 아니다. 쌓인 한반도 문제는 방치하고 회피하면 점점 더 치우기 어렵다. 좀 쉽게 해 보려고 무리하게 외부의 힘에 기대면 상황이 더 꼬이고 나빠질 수 있다. 누가 누굴 도와주는 것이 아니라 함께 협력하고 나누면 더 쉬울 수 있다. 남은 임기 동안 다음 누군가 다시금 한반도 평화의 만찬을 준비할 수 있도록 평화의 설거지를 마다하지 않을 대통령을 기대해 본다.
2021-09-10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