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사회적기업 3000곳 돌파… 코로나에도 취약계층 10% 더 뽑았다

사회적기업 3000곳 돌파… 코로나에도 취약계층 10% 더 뽑았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1-09-08 18:24
업데이트 2021-09-09 02: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증제 도입 14년 만에 55개서 3064개
지난해 6344명 채용… 한 곳당 20명꼴
매출액 9.9% 늘고 평균임금 5.8% 증가
아직 일자리제공형이 66.5% 가장 많아
생존율 5년간 79.7%… 일반기업의 2배

국내 ‘사회적 기업’ 수가 8일 3000개를 넘어섰다. 2007년 사회적 기업 인증제도를 도입한 지 14년 만이다. 무엇보다 기업 생존율이 5년간 79.7%에 달하는 등 자생력을 갖추면서 사회·경제의 중추로 자리잡고 있다.

고용노동부는 8일 사회적 기업 육성전문위원회에서 97개 사회적 기업을 새로 인증해 사회적 기업 수가 3064개가 됐다고 밝혔다. 2007년만 해도 55개에 불과했던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2007년) 이후 급격히 성장해 2013년 1012개를 기록했다. 이후 5년 만인 2018년 2122개를 달성했고 다시 3년 만에 3000개를 넘어섰다. 아직은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을 기업의 주된 목표로 삼는 ‘일자리 제공형’이 66.5%로 가장 많지만 최근에는 지역사회 공헌형도 증가해 사회적 기업의 역할이 복지, 도시 재생, 돌봄 등 지역사회 문제 해결 영역으로 확장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의 역할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두드러졌다. 대다수 일반 기업이 고용을 줄이는 동안 사회적 기업은 오히려 고용을 늘렸다. 지난해 사회적 기업의 총 고용은 5만 5407명으로 2019년보다 6344명 늘었다. 기업 한 곳당 20명을 채용한 셈이다. 특히 장애인, 고령자, 저소득자 등 취업 취약계층을 3만 3206명 고용해 해당 부문 고용률이 전년보다 10.4% 증가했다.

전체 매출액 또한 전년보다 9.9% 늘었다. 지난해 사회적 기업의 전체 매출액은 5조 2939억원이며, 민간매출(2조 9988억원)이 공공매출(2조 2951억원)보다 많다. 공공기관의 사회적 기업 제품 우선구매에 의존하지 않고도 경쟁력을 키우며 지속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다.

5년 기업 생존율이 79.7%에 이른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일반 기업의 5년 생존율 31.2%의 2배를 웃돈다. 고용부는 “자생력과 경쟁력을 갖추면서 사회적 가치 추구와 기업의 영리 활동이 양립할 수 있다는 새로운 성장모델을 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근로자 평균 임금은 월 202만 8000원으로 2007년보다 76% 증가했다. 취약계층 고용 인원의 평균 임금은 175만원으로 2013년보다 59% 늘었다. 지난해에는 경기 침체가 계속됐는데도 사회적 기업 전체 평균 임금이 5.8% 늘었고 취약계층 임금은 3.6% 증가했다. 김영중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사회적 기업이 코로나19 위기상황에서도 일자리를 나눠 고용 안정에 힘쓰고 사회적 경제 생태계를 키워 따뜻한 성장을 실현하고 있다”면서 “기업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용어 클릭

사회적 기업이란? 영리기업과 비영리기업의 중간 형태로, 사회적 목적을 우선으로 추구하면서 재화·서비스의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이나 조직을 말한다. 영리기업이 주주나 소유자를 위해 이윤을 추구하는 것과는 달리, 사회적 기업은 사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사회적 목적을 주로 추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1-09-09 1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