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송영길의 탈(脫) 조국의 시간…김한정 “당까지 부관참시”

송영길의 탈(脫) 조국의 시간…김한정 “당까지 부관참시”

손지은 기자
손지은 기자
입력 2021-06-02 17:44
업데이트 2021-06-02 17: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 대표 두 번째 ‘조국 사태’ 사과
조국 자녀 입시비리 “스펙 품앗이”
민주당의 ‘내로남불’에도 사과
조국, 페이스북에 수용 메시지
정청래 “조국 말할 권리 위해 싸울 것”
김한정 “당이 밟으면 지지도 올라가나”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2일 국회 당대표회의실에서 열린 ‘민주당 국민소통·민심경청 결과보고회’가 끝난 뒤 인사하고 있다. 2021.6.2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2일 국회 당대표회의실에서 열린 ‘민주당 국민소통·민심경청 결과보고회’가 끝난 뒤 인사하고 있다. 2021.6.2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2일 ‘조국 사태’에 대해 공식 사과하면서 회고록으로 전전긍긍하던 민주당이 한숨을 돌렸다. 다만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회고록 ‘조국의 시간’ 내용이 계속 회자되고, 그의 왕성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동을 감안할 때 민주당이 ‘조국의 시간’에서 완전히 빠져나오기는 쉽지 않다는 평가다.

송 대표는 이날 국회 대표실에서 열린 ‘국민소통·민심경청 프로젝트’ 대국민 보고회 연설을 “이제부터 국민의 시간입니다”로 시작했다. 조 전 장관의 회고록 제목인 ‘조국의 시간’에서 벗어나 이제는 민주당이 민생 중심으로 옮겨 가야 한다는 의지로 해석됐다. 송 대표는 조 전 장관 자녀 입시비리를 ‘고위층의 스펙 품앗이’라고 규정했고, 그를 옹호한 민주당의 ‘내로남불’에 대해 사과했다. ‘조국 사태’와 관련한 잘못을 사과하면서도 검찰개혁은 여전히 민주당의 과제라는 점을 분리하는 ‘투트랙’ 방침도 분명히 밝혔다.

대국민 보고 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서도 송 대표는 “법률적 측면은 검찰의 가혹한 기준으로 기소돼 법정에서 다투는 것이고 그 문제와 별개로 우리 스스로 기득권에 안주해 자녀 교육과 입시문제에서 공정 가치를 훼손해 청년에게 상처를 줬다는 것”이라며 “조 전 장관도 수차례 본인이 사과한 바 있고 일맥상통하다고 본다”고 했다.

당내에서는 송 대표가 ‘조국 사태’에 대해 사과한 것만으로도 향후 여권 대권 주자들의 행보가 한결 가벼워졌다는 평가가 나왔다. 민주당의 한 의원은 “특별히 빠진 부분 없이 모든 항목이 정리됐다고 본다”고 호평했다. 특히 “대권 주자들도 이제 관련 질문에 당의 입장과 같다는 답을 해도 무난해진 상황을 만들어 정치적 부담을 덜어 준 측면도 있다”고 전했다.
이미지 확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연합뉴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연합뉴스
조 전 장관도 일단 페이스북에 송 대표의 사과를 수용하는 입장을 밝혔다. 조 전 장관은 최근 민주당 내 가까운 의원들에게 별도의 언론 인터뷰나 회고록 관련 지역 일정을 하지 않겠다는 텔레그램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전해진다.

반면 친(親)조국 의원들의 반발은 여전했다. 민주당 정청래 의원은 보고회 후 “‘조국의 말할 권리’를 위해 함께 싸우겠다”며 “조국을 비판할 사람들은 비판하라. 저도 말할 권리가 있다”고 했다. 조 전 장관의 서울대 82학번 동기인 김한정 의원은 “당이 왜 나서나”라며 “당까지 나서서 부관참시도 아니고 밟고 또 밟아야 하겠나. 그러면 지지도가 올라가는가”라고 비판했다.

앞서 송 대표의 사과 소식을 들은 강성 지지자들의 반발은 더욱 거셌다. 이날 대국민 보고회를 중계한 민주당 유튜브 채널 ‘델리민주’ 실시간 채팅창은 ‘송영길 사퇴’와 ‘조국 수호’ 등으로 도배가 됐다. 일부 지지자들은 SNS에서 송 대표의 휴대전화 번호를 공유하며 ‘문자폭탄’을 독려하기도 했다.

송 대표의 사과에 대한 야권의 반응도 냉랭했다. 국민의힘 김예령 대변인은 “영혼 없는 사과”라고 평가했고, 국민의당 안혜진 대변인은 “내로남불 핵심인 조 전 장관의 반성이 없는데 당 대표 반성이 무슨 의미가 있겠나”라고 평가절하했다.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