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발전 감축으로 미세먼지 51% 감소

석탄발전 감축으로 미세먼지 51% 감소

류찬희 기자
입력 2021-04-12 11:28
업데이트 2021-04-12 14: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그립다 맑은 공기, 보고싶다 파란 하늘’
‘그립다 맑은 공기, 보고싶다 파란 하늘’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 황사와 미세먼지가 이어진 30일 오전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이 뿌옇다. 이날 중남부 지역 7개 시도에 초미세먼지(PM2.5) 위기경보 ‘관심’ 단계가 발령됐고, 각 지자체별로 비상저감조치를 시행한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이번 고농도 상황은 대기 정체와 잔류한 황사 등으로 인해 발생했으며, 1일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1.3.30/뉴스1
소석탄발전 감축으로 미세먼지 배출이 제도 시행 이전의 절반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제2차 미세먼지 계절 관리제’를 시행한 결과, 석탄발전의 미세먼지 배출량이 계절 관리제 시행 이전(2018년 12월∼2019년 3월) 대비 51%(3358톤) 감소했다고 12일 밝혔다. 1차 계절 관리제 시행 기간(2019년 12월∼2020년 3월)과 비교해도 19%(757톤) 줄어들었다.

2차 계절 관리제 기간 석탄발전 감축으로 발생한 비용은 1200억원으로 잠정 추산됐다. 이 비용은 ‘기후·환경 요금’으로서 추후 전기요금 총괄원가 산정에 반영한다. 기후·환경 비용 변동분은 매년 전기요금 총괄원가를 산정할 때 반영된다. 앞서 1차 계절 관리제 기간 석탄발전 감축 운영으로 발생한 비용은 1400억원으로, ㎾h당 0.3원의 요금이 산정돼 올해부터 전기요금에 반영됐다.

산업부는 “가동정지 확대에 따른 석탄발전 발전량 감소, 발전사의 지속적인 환경설비 투자 확대, 저유황탄 사용 등으로 미세먼지 배출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2차 계절 관리제 기간에 전체 석탄발전 58기 중 9∼28기의 가동을 정지하고 37∼46기는 가동 상한제약을 시행했다. 이 기간 석탄발전량은 54.3GWh로 1차 기간(61.4GWh)보다 더 줄었다.

정부는 2조원을 투자해 발전소 탈황 및 탈질 설비 성능 향상을 추진 중이다. 남부·남동·서부·중부·동서발전 등 발전 5사는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환경설비에 9141억원을 투자했다. 올해와 내년에는 1조 7919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발전 5사의 발전용 석탄 황 함량 평균은 2017년 0.47%에서 지난해 0.37%로 낮아졌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혁신정책관은 “안정적 전력수급 상황을 유지하면서 석탄발전 감축 대책을 차질없이 시행했다”며 “다음 계절 관리제 기간에도 석탄발전 감축을 착실히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