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심리학의 세상 유람] 어쩌다 노년 아니고, 새로운 활력의 꽃이 피는 노년

[심리학의 세상 유람] 어쩌다 노년 아니고, 새로운 활력의 꽃이 피는 노년

입력 2021-03-26 13:54
업데이트 2021-03-26 13: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나라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KU마음건강연구소
김나라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KU마음건강연구소
필자의 막내 아이를 태워 갈 유치원 셔틀을 기다리기 위해 아침 8시가 좀 넘은 시간 아파트 단지 입구에 나가 있으면, 같은 시간 할머니와 할머니의 보호자가 데이케어 센터 셔틀을 기다리기 위해 나와 있곤 한다. 보호자가 필요한 유치원 또래 아이들이 커다란 유치원 가방을 메고 뒤뚱뒤뚱 유치원 버스에 오르는 모습 옆에, 보호자의 부축을 받으며 천천히 걸음을 조심스럽게 옮겨 데이케어 센터 셔틀에 오르는 할머니의 모습이 교차하는 아침 시간이면 인간의 발달과 노화 과정의 단면을 보는 것 같아 노년기 활력을 연구하는 심리학자로서 많은 생각이 스쳐 간다.

필자도 어쩌다 보니 중년이 되었는데, ‘이제 곧 나도 많은 것들을 전처럼 독립적으로 해내기 어려운 노년기에 이르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노년기를 어떻게 보낼 것인가에 대해 답을 구하는 노년기 관련 연구들이 누군가의 이야기가 아니라 나의 이야기처럼 느껴지며 남다른 소중함으로 다가온다.

노화의 과정을 지속함에도 불구하고, 살아가는 힘, 즉, 활력을 유지하고 또 증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올해 1월 세계 최고 고령자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일본의 다나카 할머니가 118세 생일을 맞이하였다. 다나카 할머니의 생일파티를 보도하는 많은 언론에서는 다나카 할머니의 장수비결을 궁금해하고, 그녀가 평소 콜라를 즐겨 마셨다는 것을 조명하기도 했다. 하지만 필자는 장수비결보다는 그 기사들에서 그녀가 어떻게 노년기에 활력을 유지하고 지냈는지, 그 단서를 찾으려는 마음으로 기사를 읽어 내려갔다. 그녀는 생일날 인터뷰에서 매일 간단한 계산 문제를 풀고, 보드게임을 즐긴다며, 자신의 장수 비결로 ‘맛있는 것을 먹고, 배우는 것’을 꼽았다고 한다.

그녀는 현재 요양병원에 거주하고 있고, 이동을 위해 휠체어가 있어야 하는 등 독립적인 생활에 제한이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그녀 나름대로 활력이 가득한 삶을 영위하고 있는 모습이었다. 그녀의 118세 삶에서 엿볼 수 있듯이, 노년기에 이르면 삶을 영위하는 데 있어 다른 사람들의 도움이 필요하기도 하지만, 그러한 것들이 활력 있는 삶을 사는 것을 막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마치 어린아이들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누군가의 보호가 꼭 필요하지만, 그것과 상관없이 아이들이 신나게 하루를 보내는 것처럼 말이다. 어린아이가 신나고 즐겁게 하루를 보내는 것의 가치가 매우 중요한 만큼, 노년기에 활력을 유지하는 것 또한 매우 중요한 가치이다.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KU마음건강연구소의 노년기 활력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활력 집단의 노인들은 낮은 활력 집단보다 더 많은 활동에 참여하며, 긍정 정서 상태와 부정 정서 상태 척도(PANAS)로 측정했을 때, 고활력 집단의 긍정 정서 평균점수가 2.92점으로 낮은 활력 집단의 점수 2.26점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활력 집단의 부정 정서 평균이 1.69점인데 비해, 낮은 활력 집단의 부정 정서 평균은 3.14점으로 고활력 집단이 부정 정서를 훨씬 더 적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다양한 활동, 특히 스스로 그 활동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참여하는 활동을 많이 할수록 긍정 정서를 경험할 확률이 높아지고, 부정적인 정서를 잘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더해,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식사, 수면, 학습, 운동의 다섯 가지 영역을 꾸준히 모니터하고 관리하는 것이 노년기 활력을 유지하는데 있어 핵심 요소라고 강조하고 있다.

평균 수명이 길어진 지금, 얼마나 오래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오래 사느냐가 중요하다는 얘기가 이제는 자연스럽게 읽히는 시대이다. 어쩌다 노년이 아닌, 새로운 활력이 꽃피는 노년기를 보내기 위해서는 지금부터라도 노년기 활력을 살펴본 연구 결과에 주목하고 자신의 삶에 하나씩 적용해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김나라 고려대학교 심리학부 KU마음건강연구소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