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화마당] 서평 전문지 ‘서울리뷰오브북스’, 한국 출판 ‘죽비’ 되길/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문화마당] 서평 전문지 ‘서울리뷰오브북스’, 한국 출판 ‘죽비’ 되길/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입력 2021-03-17 17:40
업데이트 2021-03-18 02: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장은수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서평 전문지 ‘서울리뷰오브북스’가 나온다는 말을 들었을 때 솔직히 놀랐다. 창간과 관련해 입말이 돌았을 때 동료 편집자, 출판인 다수가 회의적이었다. 여기엔 소문만 무성하고 출간까지 이어지지 못한 몇몇 논의 탓에 생긴 체념도 있고, 창간 후 몇 해 넘기지 못하고 폐간을 거듭했던 여러 실패 경험에서 나온 우려도 있었다.

무엇보다 북튜버와 책스타그램과 클럽하우스 열풍에, 온라인 서점과 포털 블로그에 책 소개가 넘쳐나는 시대에 작품도 아니고 서평을 종이 잡지로 챙겨 읽을 정도로 열정적 독자 팬덤이 존재할 것인가 하는 질문에 출판 기획자들은 용기를 내지 못했다.

작년 말 창간 준비호에 이어 지난주 창간호를 냄으로써 ‘반시대적 용기’를 보여 준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진은 전혀 다른 질문에서 출발한다. 편집장 홍성욱 교수는 묻는다.

“독자들 사이에서 화제가 될 만큼 좋은 서평이 있었는가?”

한국 서평 문화의 현재에 대한 문제의식을 담은 질문이다. 한국의 책 소개 지면은 대부분 “대중적으로 인기 있는 책을 소개하는 역할에 머물러 있고”, “학술지 서평은 판에 박힌 칭찬 일색으로 ‘주례사 비평’의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이런 질 낮은 서평들이 아니라 “책의 내용과 주장에 정곡을 찌르는 비평을 통해 독서의 재미와 깊이를 더해 주는 길라잡이” 역할을 할 만한 서평이 가득해 “독서의 방향을 잡아 줄” 잡지가 존재한다면 “세상을 바꾸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독자들 열광도 끌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잡지에 대한 독자들 반응은 대단했다. 크라우드 펀딩 목표액을 971%나 초과 달성했다.

홍 교수는 피터 싱어의 서평을 좋은 예로 든다. ‘동물, 인간, 도덕’(1971)은 동물에게도 기본권이 있다는 동물권 개념을 담은 책으로 공장식 축산의 잔인함에 대한 강한 비판을 담고 있다. 학술서란 이유로 이 책이 대중의 주목을 받지 못하자 피터 싱어는 ‘동물 해방’이라는 서평을 ‘뉴욕리뷰오브북스’에 게재한다. 서평이 게재된 후 인간이 동물을 대하는 방식에 대한 반성이 일어나면서 책과 서평은 동물해방운동의 도화선이 된다.

“중요한 주장과 해석을 담았지만 널리 주목받지 못한 책을 발굴해서 제대로 평가”하고, “과장과 허풍이 심한 책에 대한 비판의 칼”을 들이밀면서 나쁜 화제작의 거품을 빼는 일로도 세상은 충분히 바꿀 수 있다. 구미에서는 ‘뉴욕리뷰오브북스’, ‘타임문학판’, ‘런던리뷰오브북스’ 같은 고급 서평지가 그 일을 해 왔다. 이웃 중국에서도 ‘독서’가 개혁개방 시기 지성계의 수준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서평지의 등불이 꺼진 지 오래다. 1987년부터 2008년까지 발행된 ‘출판저널’이 폐간된 후 한국에서 고급 서평지는 사실상 존재를 감추었다. 출판 전문지 ‘기획회의’가 비슷한 역할의 잡지로 남았을 뿐 2012년 창간한 ‘프레시안북스’는 세 해를 넘기지 못했고, 버티던 책 소개 잡지들마저 온라인 등쌀에 광고가 떨어지면서 차례로 문을 닫았다. 어린이·청소년 도서 쪽에 ‘학교도서관저널’이 전문 서평지로 남았을 뿐이다. 2015년부터 예스24에서 발행하는 월간지 ‘채널예스’가 있으나 대중적 책 소개와 저자 인터뷰를 주로 한다.

‘출판저널’을 회고하는 자리에서 이기웅 열화당 사장은 말했다. “공정성이 생명인 서평지가 상업성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다면 그것은 서평지가 될 수 없다.”

신간 안내가 서평으로 둔갑할 때 출판문화는 약해진다. 오랜만에 나온 서평 전문지 ‘서울리뷰오브북스’가 한국 출판의 힘찬 풀무이자 뼈아픈 죽비로서 오랫동안 함께했으면 좋겠다.
2021-03-18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