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역확산에 깜깜이 환자 11%인데… 1단계 유지하는 방역당국

지역확산에 깜깜이 환자 11%인데… 1단계 유지하는 방역당국

박찬구, 이현정 기자
입력 2020-06-30 20:56
업데이트 2020-07-01 06: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주간 645명 감염… “상향 땐 경제손실 커”
의료진 피로 누적… 휴가철 집단감염 우려

이미지 확대
지난 13일 열린 경기도 8·9급 지방직 공무원 공채시험에 응시한 수험생들이 시험장에 입장하기 전 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해 체온 측정과 소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3일 열린 경기도 8·9급 지방직 공무원 공채시험에 응시한 수험생들이 시험장에 입장하기 전 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해 체온 측정과 소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진자가 수도권과 대전에 이어 광주·전남 등 전국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면서 현재 1단계인 ‘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로 올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0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지난 16일부터 이날까지 신고된 환자 645명 중 아직 감염경로를 파악하지 못한 환자는 11.8%다. 특히 최근에는 감염원을 알 수 없는 집단감염 사례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14명의 누적 환자가 발생한 광주 동구 광륵사 집단감염도 최초 감염원을 찾지 못하고 있으며, 대전이나 수도권과의 연관성도 파악되지 않았다. 전국에 산발적으로 발생한 집단감염은 눈덩이처럼 늘어나고 있다. 23명의 환자가 나온 경기 안양시 주영광교회 집단감염에 노출된 곳은 11개에 이른다. 물류센터, 어린이집, 사회복지시설, 의료기관, 산후조리원, 직장, 학원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장소들이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아직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어 거리두기를 1단계에서 2단계로 상향할 수준은 아니라고 밝혔다. 그 이유로 우선 전체 환자 중 지역사회 발생 건수가 30명 안팎으로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전체 환자는 50~60명대를 유지하고 있지만 해외 유입 비율이 높아진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실제 해외 유입 환자는 6월 17일부터 23일까지 1주일간 112명으로 전체 환자의 25.4%를 차지했지만 6월 24일부터 30일까지 1주일간은 111명으로 35.1%로 높아졌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본 전략기획반장은 브리핑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올리면 그만큼 사회경제적 손실과 희생이 따르는데 아직은 환자 치료가 가능한 수준이라 사회 전체적으로 희생을 치를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윤태호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확진자 추세가 왔다갔다하는 것은 상관없지만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면 그때 가서 2단계를 고려할 수 있다”고 했다.

하지만 의료 현장의 이야기는 다르다. 김우주 고려대 감염내과 교수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로 올려 신규 환자 수를 10명 미만으로 줄여야 의료진이 쉬어가며 일을 할 수 있다”며 “이런 식으로 전국에 환자가 계속 발생하면 의료진도 사람인데 결국 소진될 수밖에 없다”고 호소했다.

여름휴가철을 맞아 해수욕장, 워터파크, 휴게소 등에서의 집단감염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방역당국은 해수욕장이나 워터파크에서의 물놀이는 염분이나 염소 농도가 충분해 위험도가 비교적 낮다고 말한다. 하지만 탈의실이나 화장실, 샤워실 등에서의 밀접 접촉은 삼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1일부터 전국 주요 해수욕장에서 예약제와 신호등 서비스가 예약제가 시작된다. 한편 코로나19 치료제 렘데시비르의 국내 공급과 관련해 방역당국은 미국 내 공급이 우선이어서 국내 공급 협상은 8월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손 반장은 “렘데시비르가 국내에 들어온다면 약가 협상을 해야 해서 현재 어느 정도 될지 예상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세종 박찬구 선임기자 ckpark@seoul.co.kr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07-01 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