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책통’ 김태년 vs ‘친문 핵심’ 전해철 vs ‘野와 소통’ 정성호

‘정책통’ 김태년 vs ‘친문 핵심’ 전해철 vs ‘野와 소통’ 정성호

기민도, 신형철 기자
입력 2020-04-28 22:46
업데이트 2020-04-29 02: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 원내대표 등록 마감·새달 7일 선출

金·全 “강력한 당정청 관계 발전” 출사표
金, 초선 상임위 우선 배정 맞춤형 공약
全, 계파색 짙지만 靑과 긴밀 소통 강점
鄭, 계파 없어 경선에서 득표력 미지수
이미지 확대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가 28일 국회에서 원내대책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후덕 원내수석부대표, 이 원내대표, 조정식 정책위의장, 윤관석 정책위 수석부의장, 박경미 원내부대표.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가 28일 국회에서 원내대책회의를 주재하며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후덕 원내수석부대표, 이 원내대표, 조정식 정책위의장, 윤관석 정책위 수석부의장, 박경미 원내부대표.
김명국 선임기자 daunso@seoul.co.kr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선거가 김태년(4선·경기 성남수정·기호순)·전해철(3선·경기 안산상록갑)·정성호(4선·경기 양주) 의원의 3파전으로 확정됐다. 21대 국회에서 슈퍼 여당을 이끌며 원내를 진두지휘할 민주당 원내대표는 다음달 7일 선출된다.

민주당 원내대표 후보 등록 마지막 날인 28일 오전 김 의원은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3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차원 더 높은 당정청 관계로 발전시켜야 한다”며 원내대표 출마를 선언했다. 김 의원은 초선 표심을 노리고 초선을 상임위원회에 우선 배정하는 등의 맞춤형 공약도 발표했다.

전남 순천에서 출생한 김 의원은 경희대 수원캠퍼스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학생운동에 투신했다가 참여정부 시기인 2004년 17대 국회에서 처음 배지를 달면서 정치권에 입문했다. 친문(친문재인) 이해찬계의 지지를 받는 김 의원은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간사와 당 정책위의장 등을 역임한 ‘정책통’으로 꼽힌다.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지난해 1월까지 당정청 정책 조율을 진두지휘하면서 ‘일 잘하는 의원’으로 평가를 받은 게 장점이다. 다만 정책위의장 시절 본인 위주로 일을 처리했다고 평가하는 동료 의원들도 있다.
이미지 확대
전 의원도 이날 오후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신뢰를 기반으로 한 강력한 당정청 협력이 가능해야 한다”며 마지막으로 원내대표 출사표를 던졌다.

친문 핵심으로 분류되는 전 의원은 청와대와 긴밀하게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그는 “신뢰를 기반으로 청와대와 소통하며 일로써 확실한 성과를 낼 수 있는 원내대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남 목포 출신인 전 의원은 참여정부에서 민정비서관과 민정수석을 역임하고 2017년 대선에서 문재인 후보의 복심으로 정권 교체에 큰 역할을 했다는 평을 받는다. 다만 친문 계파색이 너무 짙다는 점이 오히려 야당과의 협상 과정에서 부작용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전날 가장 먼저 원내대표 출마를 선언한 정 의원은 “겸손, 실력, 통합이 원내 운영의 기조가 돼야 하고 사심 없고 계파 없고 경험 많은 합리적 실용주의 원내대표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그동안 기획재정위원장, 국토교통위원회 간사, 원내수석 부대표 등을 역임한 것을 바탕으로 야당과의 소통 능력에 강점이 있다는 평가다. 다만 ‘무(無)계파’인 점이 의원들의 투표에서 불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강원 양구 출신의 정 의원은 사법시험(제28회)에 합격하고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회원 등으로 활동했다. 정 의원은 17대 총선에서 양주·동두천에 출마해 당선돼 정계에 입문한 후 19·20·21대 총선에서 양주에서 당선되며 4선 고지에 올랐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신형철 기자 hsdori@seoul.co.kr
2020-04-29 6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