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일본이 한국 검사키트 성능평가? 정부 “지원 추진 안해”

일본이 한국 검사키트 성능평가? 정부 “지원 추진 안해”

최선을 기자
입력 2020-04-28 18:25
업데이트 2020-04-28 18: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 메릴랜드주가 한국에서 공수한 코로나19 진단키트. 래리 호건 미 메릴랜드 주지사 트위터 캡처
미 메릴랜드주가 한국에서 공수한 코로나19 진단키트.
래리 호건 미 메릴랜드 주지사 트위터 캡처
“일본에 대한 지원 추진하고 있지 않은 상황”
일본 언론이 한국에서 코로나19 검사 키트를 지원받는다면 우선 성능평가를 거친 뒤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 일본 정부의 입장이라고 보도한 가운데, 우리 정부는 검사 키트를 일본에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8일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에 대한 우리 정부의 지원은 현재로서는 아직 추진하고 있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앞서 아사히신문은 한국 정부가 검사 키트를 일본에 지원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한국 정부 고위 관리의 발언을 인용해 보도했다. 반면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전날 기자회견에서 지원에 관해 한국 정부와 구체적으로 논의한 바 없다며 아사히 보도를 부인했다.

우리 정부는 여러 국가로부터 코로나19 관련 방역물품에 대한 수출과 인도적 지원요청을 받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방역물품 해외 진출 지원 범부처 TF(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윤 총괄반장은 방역물품 해외 지원 및 수출과 관련해 “국내 공급 여력과 지원 대상국의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지원한다는 게 기본적인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진단검사 키트
코로나19 진단검사 키트 3일 오후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에 설치된 마포구 선별진료소에서 방호복을 입은 마포구 직원이 검사 키트를 들어 보이고 있다. 2020.3.3
연합뉴스
“국내 검사 정확성 등에 문제제기 없어”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국산 코로나19 진단키트의 성능을 추가 검증해야 한다는 일본의 입장에 대해 “추가 검증은 해당 국가가 주권과 법령에 따라 알아서 판단할 일”이라고 말했다.

권 부본부장은 한국과 일본의 코로나19 진단키트 정확성을 비교할 명확한 근거는 없지만, 적어도 국내에서 국산 키트를 둘러싼 문제가 제기된 바는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내 전문가들과 여러 가지 사례를 비교했을 때, 국내에서 현재 이뤄지는 실시간 유전자 증폭(RT-PCR) 방식 키트의 광범위한 적용, 정확성, 신속성에 대해 이론 또는 문제제기는 없었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마스크를 쓰고 27일 중의원(일본 국회의 하원) 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0.4.27  AP 연합뉴스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마스크를 쓰고 27일 중의원(일본 국회의 하원) 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0.4.27
AP 연합뉴스
아사히 “일본 검사와 같은 수준인지 확인해야”
이날 아사히는 한국으로부터 유전자 증폭(PCR) 검사 키트 지원이 있는 경우 일본 국내에서 사용하려면 국립감염증연구소의 성능 평가가 필요하다는 것이 일본 후생노동성의 입장이라고 보도했다.

자국에서 실시하는 PCR 검사와 동등한 수준의 정확도가 있는지 확인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일본 정부의 견해라는 것이다.

아울러 PCR 검사에 사용되는 시약 등은 일부 제조사의 물량이 부족하기는 하지만 일본 당국은 전체적으로는 부족한 상황이 될 것으로 예상하지는 않고 있다고 아사히는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일본 도쿄의 한 전철역이 27일 출근하는 직장인들로 붐비고 있다. 2020.4.27  AP 연합뉴스
일본 도쿄의 한 전철역이 27일 출근하는 직장인들로 붐비고 있다. 2020.4.27
AP 연합뉴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