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문현웅의 공정사회] 고통의 의미

[문현웅의 공정사회] 고통의 의미

입력 2020-04-22 17:12
업데이트 2020-04-23 0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문현웅 변호사
문현웅 변호사
고통 없는 인생은 없다. 이 단순 명제를 잘 알고 있으면서도 고통은 피하고만 싶은 것이 사실이다. 우리는 하루를 시작하며 ‘오늘 하루도 무사히’라고 기도한다. 될 수 있으면 고통이 피해 가길 기원하는 것이다. 만약 고통이 피해 가지 않는다면 그 고통을 잘 이겨 낼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하기도 한다. 인생의 고통은 아침에 눈뜨자마자 맞닥뜨리는 평생의 화두라고 말할 수 있겠다.

실제로 고통이 엄습하면 ‘ 도대체 나에게 왜 이런 고통이!’ 하는 탄식이 저절로 나온다. 이런 탄식 속에서 보통은 고통의 근원 탐색이 시작되기 마련이다.

자신의 행실 즉 뭔가 잘못 살아왔던 삶 속에서 고통의 근원을 찾는 사람이 있다. 내가 그따위로 살았으니 이렇게 고통받는 것은 당연하다고, 엄습한 고통에 대해 수긍은 하지만 그것과는 별론으로 고통을 불러온 자신에 대한 원망은 끊이지 않고 결과적으로 자신에 대한 자책 때문에 고통은 배가 된다.

고통의 근원을 내가 아닌 외부로 돌려 갖가지 외부 환경을 탓하기도 한다. 그 사람을 만나지 않았다면, 내가 이 집에서 태어나지 않았다면, 내가 그 학교를 가지 않았다면, 내가 그 직장을 선택하지 않았다면. 가능했던 선택에 대해서는 후회만이 남고, 어쩔 수 없는 선택에는 박복한 팔자를 한탄하기도 하는데 어쨌거나 고통의 근원을 외부로 돌리기 시작하면 타인에 대한 미움 때문에 더욱 힘들어진다.

그래도 고통의 근원이 풀리지 않으면 신을 탓하기도 한다. 내가 뭔 잘못을 했다고 이렇게 고통을 주시나 하면서, 늘 함께하시겠다고 했으면서 왜 나를 버리셨나요 하면서, 그렇게 간절히 기도했건만 왜 들어주시지 않았나요 하면서, 울고불고 매달렸는데도 신이 나를 버리셨다는 절망감에 더욱 서럽고 아프기만 하다.

고통의 근원을 자신에게서 찾으면 자책으로 더 힘들고, 외부환경에서 찾으면 타인에 대한 미움으로 더 힘들고, 신에게서 찾으면 절망의 나락에서 헤어나기가 힘들다. 고통의 근원을 탐색하면 할수록 고통의 늪에서 빠져나오기보다 그 늪에 더욱 깊게 빠져든다.

지금 닥친 고통만으로도 힘들어 죽겠는데 고통의 근원을 탐색하기 시작하면 그 고통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두 배, 세 배로 부풀게 되니 어찌해야 한단 말인가. 간단하다! 고통의 근원 탐색을 단호히 멈추면 된다.

‘멈추면 비로소 보인다’라는 말이 있듯 고통의 근원 탐색을 멈추면 엄습한 고통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서서히 보이기 시작한다. 그러니까 고통은 과거 지향적으로 그 근원을 탐색할 대상이 아니라 미래 지향적으로 함께해야 하는 대상인 것이다.

인생의 고통으로 괴로운 나날을 처절하게 보내 본 사람은 두 번 다시 맞닥뜨리고 싶지 않은 고통이지만 그 어떤 고통이든 고통 속에 소중한 의미가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고통에서 서서히 벗어나 고통의 의미로 한 단계 성숙해진 자신을 발견한 경험이 있는 것이다.

그렇게 고통 속에 평화를 찾고 한 단계 성숙한 것 같지만 또다시 고통이 엄습하면 어리석게도 고통의 의미에 대한 생각보다, 그 고통의 의미로 한 단계 성숙했던 감격보다 일단 고통의 근원 탐색으로 더욱 힘든 나날을 보내게 된다. 하지만 고통의 의미를 찾았던 시간 덕분에 고통은 예전과는 다른 색깔의 옷을 입고 다가오기 마련이다.

코로나19로 가톨릭의 사순과 부활시기가 공동체 미사 없이 진행됐다. 가톨릭에서는 일 년 중 가장 의미 있는 시간을 침묵 속에서 보내게 된 것이다. 함께 모여 예수의 수난을 묵상하고 부활을 기뻐하는 시기에 각자 침묵의 시간을 보내다 보니 가톨릭 신자들에게는 코로나19로 인한 고통에 영적 갈증과 허기까지 더해졌다.

사실 가톨릭 신앙의 핵심인 부활은 죽음이라는 고통이 전제된다. 즉 죽음이 없으면 부활도 없는 것이다. 그러니까 부활신앙의 핵심은 예수의 수난과 죽음에 대한 동참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부활의 기쁨만을 맛보고 싶겠지만 예수 부활의 핵심 메시지는 고통의 동참을 먼저 요구한다. 코로나19로 괴로운 나날이지만 이 고통 또한 예수의 수난과 부활처럼 분명 뜻깊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2020-04-23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