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웃돈 얹어 드릴게, 제발 원유 사세요

웃돈 얹어 드릴게, 제발 원유 사세요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0-04-22 01:52
업데이트 2020-04-22 04: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배럴당 -37.63달러 ‘초유의 마이너스 유가’

코로나로 수요 급감해도 증산 ‘치킨게임’
저장 공간 없고 선물만기 겹쳐 수요 붕괴
逆오일쇼크로 경기침체·디플레 우려도
이미지 확대
2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이 배럴당 -37.63달러를 기록하며 시장이 충격에 빠진 가운데 3D로 만든 모형 석유시추기 뒤로 ‘유가 배럴당 0달러’라는 설명이 보인다. 뉴욕 로이터 연합뉴스
2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이 배럴당 -37.63달러를 기록하며 시장이 충격에 빠진 가운데 3D로 만든 모형 석유시추기 뒤로 ‘유가 배럴당 0달러’라는 설명이 보인다.
뉴욕 로이터 연합뉴스
미국 서부텍사스산원유(WTI) 1배럴(158.9ℓ)을 팔려면 오히려 40달러를 얹어 줘야 했다. 인류가 근대화된 선물시장에서 원유를 사고판 이래 처음 있는 일이다. 코로나19로 원유 수요가 급감했음에도 산유국이 ‘치킨게임’으로 생산량을 늘린 탓이다. 원유 저장할 곳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쌓이자 판매자는 손해를 보며 처분하는 걸 선택했다. 일시적인 현상이긴 하지만 당분간 초저유가 흐름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코로나19로 가뜩이나 위축된 세계 경제에 유가 폭락에 따른 디플레이션 공포까지 드리우고 있다.

21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5월 인도분 WTI는 배럴당 -37.6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전 거래일인 지난 17일 종가(18.27달러)보다 무려 55.90달러(-306%) 급락했다. 장중 한때 -40.32달러를 기록하기도 했다. 마이너스 가격으로 거래됐다는 건 판매자가 그만큼 웃돈을 얹어 줬다는 뜻이다. WTI가 1983년 선물시장에 상장된 이래 초유의 상황이 연출됐다.
이런 기현상이 벌어진 건 원유가 저장고뿐 아니라 바다 위 유조선에도 가득 차 있을 정도로 넘쳐나기 때문이다. 여기에 원유시장 선물 만기까지 겹치면서 수요가 완전히 붕괴됐다. 21일 5월물 WTI 만기일을 앞두고 선물 투자자들이 5월물 원유를 인수하기보다는 6월물로 갈아타는 ‘롤오버’를 선택한 것이다. 백영찬 KB증권 연구원은 “6월물 만기가 도래하는 다음달 20일에도 가격 급락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비정상적으로 낮은 유가가 ‘역(逆)오일쇼크’를 초래해 경기 침체를 부추기고 디플레이션을 촉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글로벌 에너지기업과 셰일가스 개발 업체가 수익성 악화로 파산하면서 금융회사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 컨설팅업체 리스타드에너지는 국제 유가가 10달러일 땐 미국 에너지 탐사 및 생산기업 1100개, 20달러일 경우엔 533개 기업이 연내에 부도가 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컨설팅업체 BM리서치파트너십은 지난달 시추·정유 일자리가 5만 1000개가량 없어졌고, 부수적인 시추 장비, 조선 등과 관련된 일자리도 1만 5000개 줄어든 것으로 분석했다.

산유국도 재정 상황이 악화되며 직격탄을 맞는다. 앞서 2014년과 2016년 역오일쇼크 현상이 나타났을 때도 베네수엘라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바레인 등은 긴축 재정에 나서야 했다. 우리나라도 석유화학업계가 수요 감소와 수출단가 하락 등 충격이 불가피하고, 해외 건설업계 역시 중동 국가의 재정 악화로 수주에 타격을 입는다. 정준환 에너지경제연구원 석유정책연구팀장은 “국제 유가가 하반기에 회복되더라도 배럴당 50달러 수준에 머물고, 내년에도 60달러 이상으로 올라가긴 힘들 것”이라며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면서 유효 수요가 회복돼야만 저유가와 디플레이션 위험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20-04-22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