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코로나 창궐지역도 항체 인구 3% 불과…“재유행 불가피”

코로나 창궐지역도 항체 인구 3% 불과…“재유행 불가피”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0-04-21 16:53
업데이트 2020-04-21 16: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에도 일상생활 즐기는 스웨덴
코로나19에도 일상생활 즐기는 스웨덴 26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의 한 야외 식당에 사람들이 식사를 하고 있다. 스웨덴은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집단면역을 목표로 차단 정책보다 느슨한 봉쇄 정책을 펼치고 있다. 2020.3.27
EPA 연합뉴스
방역당국이 코로나19가 창궐한 지역에서도 항체가 형성된 인구 비율이 3%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를 언급하면서 코로나19와의 전쟁은 장기전이며 재유행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21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최근 세계보건기구(WHO)의 코로나19 항체율 관련 발언을 언급하면서 “유럽에서 상당히 큰 규모의 코로나19 유행이 있었는데도 항체를 가진 비율이 매우 낮았다”며 “결코 방심할 수 없다는 결론을 얻게 됐다”고 말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20일(현지시간) 제네바에서 열린 언론 브리핑에서 세계 각지에서 시행된 항체 검사를 종합할 때 항체를 가진 비율은 3% 이내였다고 밝혔다.

네덜란드 7천명 검사 결과 3%만 항체 보유…최대 14% 그쳐
네덜란드에서 7000명을 상대로 실시한 혈청 항체검사에서 3%만 항체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고, 독일과 프랑스 등에서도 항체 양성률은 대체로 한 자릿수, 최대 14% 정도였다.

이는 코로나19가 창궐했던 지역에서는 많은 사람이 발병 후 항체를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해 ‘집단면역’(herd immunity)이 형성됐을 것이라는 기대와는 어긋나는 결과다.

권 부본부장은 “항체가 있다고 해도 방어력이 얼마나 되는지, 항체의 지속기간이 얼마인지는 다른 문제”라며 “치료제와 백신 등 최종적인 해결책이 개발·보급되고 지역사회에서 완벽하게 방어가 가능하다는 판단이 나올 때까지는 코로나19 방역대책은 오랜 기간 지속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WHO 사무총장은 항체 양성률이 매우 낮다고 이야기하면서 봉쇄를 완화하고 있는 몇몇 국가에 경고를 한 셈”이라며 “WHO는 봉쇄를 풀더라도 철저한 방역 대책이 함께 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재유행은 반드시 온다”
그는 “우리는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통해 코로나19 유행을 잘 통제해왔지만, 항체 형성 수준과 계절적 요인 등을 고려할 때 코로나19 재유행은 올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본다”고 전망했다.

방역당국은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많은 인구가 항체를 가졌을지는 짐작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항체 형성 여부는 혈액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권 부본부장은 “우리나라도 조속한 시일 내에 표본을 정하고 검체를 확보해서 과연 항체가 얼마나 형성됐는지, 과연 방어력은 있는지, 얼마나 지속 가능한지 알아봐야 한다”며 “국외에서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코로나19가 유행하자 스웨덴과 영국 등지에서는 인구의 60% 이상이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집단면역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스웨덴은 학교와 상점을 문을 닫지 않고 시민의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하면서 집단면역 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에 따른 사망자의 3분의 1이 요양원에서 나오면서 노인들의 희생을 앞세우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스웨덴은 이날 현재 누적 확진자가 1만 4777명이고 이 중 1580명이 사망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