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코로나 국제 성적표/이지운 논설위원

[씨줄날줄] 코로나 국제 성적표/이지운 논설위원

이지운 기자
입력 2020-04-13 23:52
업데이트 2020-04-14 04: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로나19 초기 국면에서 싱가포르·대만·홍콩은 전 세계가 공인한 ‘방역 모범국’이었다. 대규모 감염을 막아낸 몇 개 안 되는 나라들이다. 한국은 아쉽게도 이 반열에 오르지 못했다. 모범국들이 보여 줬던 것처럼 사태 초기 ‘확실한 차단’을 하지 못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한국은 그 값을 꽤 비싸게 치렀다. 이른바 ‘코로나 차트’에서 중국 다음 위치에 한참이나 고정석처럼 자리했고, 국제사회로부터 편치 않은 시선을 꽤 긴 시간 감내해야 했다.

일본은 꽤 ‘편안한’ 시간을 보냈다. 국제사회는 반신반의했다. 별 대책을 취한 게 없으니, 사정은 한국과 다르지 않을 텐데 하는 의구심도 일었지만, ‘일본이니까’ 하는 분위기도 존재했다. 알고 보니 일본 성적도 형편없기는 마찬가지였다. 다만 시험지를 제출하지 않았기에 성적 확인을 못 했을 뿐이다. 채점을 받지 못하다 보니 일본은 오답을 정정할 기회도 놓치고 말았다. 일본 정부는 의도하지 않은 채 ‘집단 감염’ 정책을 도입한 첫 번째 나라가 됐다. 한때 집단 감염을 정답으로 알았던 영국과 스웨덴은 도리어 먼저 수식을 고쳐 풀고 있는 중이다.

이탈리아, 스페인 등 유럽에 이어 미국으로 감염이 확산되면서 한국에 대한 시각은 조금씩 바뀌기 시작했다. 날마다 시험을 치르다 보니 한국이 상당히 우수한 점수를 앞서 제출하고 있었다는 걸 알게 된 것이다. 우리도 미처 깨닫지 못했지만, 한국에는 시스템이 있었다. 국민 1인당 병상수를 비롯한 공공의료체계 등 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도 많지만, 이 시스템의 핵심은 ‘닥치고 진단’이었다. 2003년 사스와 2015년 메르스 등을 거쳐 정착된, 문제 해결을 위한 최상의 기본 공식이었다.

우등생을 자처했던 각국 학생들이 문제를 이리저리 풀다 도출한 해법도 이것이었다. 전염병의 대유행을 수년 전부터 예언했던 빌 게이츠도 해답까지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으로 이 한국식 진단 모델을 여러 차례 언급했다.

성적은 엎치락뒤치락한다. 지난 3월까지 신규 확진자 수를 매일 10명 이내로 관리했을 만큼 우수했던 싱가포르·대만·홍콩에서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지난 2주 새 벌어진 상황이다. 사실상 ‘2차 파동’이다. 상당 부분 해외 유입이 문제가 됐다. 초중고 학교 문을 열었던 싱가포르 사정은 상당히 심각하다고 한다.

방심할 일이 아니다. 한국이 최근 국제사회의 조명을 받았던 것은 대규모 감염이 발생한 뒤 이를 일정한 수준으로 끌어내린 사례로는, 현 시점에서 중국을 제외하고 유일한 사례여서다.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이제 우리 기준으로 중간고사는 치른 것일까. 졸업하기 전 성적이 언제 뒤집힐지 모를 일이다.

jj@seoul.co.kr
2020-04-14 3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