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2030 세대] 톱니바퀴/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2030 세대] 톱니바퀴/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입력 2020-04-09 23:12
업데이트 2020-04-10 03: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김현집 미 스탠퍼드대 고전학 박사과정
코로나19 탓으로 3월 미국을 떠나기로 한 하루 전날도 여느 때처럼 조깅을 했다. 옆에서 뛰는 미국인도 몸 가꾸는 데 목숨을 걸고 있다. 소설 ‘금각사’의 작가 미시마 유키오는 현대인은 튼튼한 근육이 필요 없다고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자에게 근육은 자존심이다. “고대 그리스어의 자리를 근육이 채웠다”며 미시마가 꼬집었다.

조깅은 계속되지만 학교는 텅 비었다. 학생들이 없는 교내식당, 도서관, 분수는 더이상 의미가 없어 모두 멈추었다. 여름학기 강의도 온라인으로 옮겨졌다. 대학 시절 내 지도교수가 농담했었다. 50년 안에 대학 캠퍼스들은 대부분 문을 닫고, 옥스퍼드는 고급 호텔이 될 거라고.

이런 생각 끝에 책의 한계는 어디일까 고민해 본다. 모두 방에 갇혀서 사람 간 접촉 없이 독학한다면 말이다.

소크라테스는 ‘책’을 신뢰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이런 일화 하나를 들려주었다. 테우스라는 이집트인이 타모스 왕을 찾아가 자신이 만든 발명품을 자랑했다. 바로 문자다. 이런 테우스를 보고 왕이 부드럽게 꾸짖었다. “자네는 분명 위대한 발명가네. 하지만 문자는 진실이 아니라 진실의 겉모양만 전달할 것이네. 지혜는 문자를 통해 얻을 수 없네. 말만 주워듣고, 배운 것은 없는 사람같이 되겠지. 지혜의 무늬만 띤 사람 말이네.”

소크라테스는 깨달음은 책에서가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지난달 이 칼럼에서 나는 카뮈의 ‘전락’을 얘기하며 얼어붙은 마음을 깨부술 책을 찾았다. 하지만 책이 구원할 수 없는 것이 있다. 책을 통한 새로움은 잠자고 있던 것의 일깨움일 뿐이다. 책만으로는 깊은 변화를 가져오지 못한다. 사람의 몫으로 남겨진 게 있다는 얘기다.

진정한 변화는 내가 새로운 방향으로 톱니바퀴처럼 돌아가고, 수많은 작은 톱니바퀴들도 그와 맞물려 회전할 때 이루어진다. 눈에 보이지 않았던 톱니들 사이로 생각이 흐르고, 입으로만 흐르던 말에 의미가 깊어진다. 이것이 변화다. 단순히 톱니바퀴 하나가 굴렀을 뿐인데 세상이 어느 날 바뀐다.

소크라테스, 예수, 부처는 글 한 줄, 책 한 권 남기지 않았다. 그들의 가르침은 제자들이 기록했다. 플라톤의 대화편을 보면 스승 소크라테스가 진리를 찾아 책의 마지막 장까지 상대를 붙잡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물론 상대는 진리를 찾지 못하고 떠난다. 소크라테스는 홀로 남겨진다. 소크라테스는 책은 정물의 그림같이 대답을 하지 못한다 했다.

사람을 바꾸는 것은 사람만이 가능하다. 운명과 인연을 보고 겸허해하는 까닭이다. 우리의 영혼이 흔들렸던 순간을 기억해 보자. 책보다 놀라워서도, 그림보다 아름다워서도, 음악보다 영원해서도 아니고, 살과 두 눈을 가진 인간이기 때문에 더욱이 여기에 톱니바퀴 같은 관계가 맞물릴 때 영혼이 사정없이 흔들리는 거다.

학교의 문을 열든 닫든 이런 만남은 어쩌다이다.
2020-04-10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