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박상현의 디지털 미디어] 단체장의 유튜브병과 앱앓이

[박상현의 디지털 미디어] 단체장의 유튜브병과 앱앓이

입력 2019-10-09 17:32
업데이트 2019-10-10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상현 코드미디어 디렉터
박상현 코드미디어 디렉터
얼마 전 정부 모 부처의 공무원과 차를 마실 일이 있었다. 의견을 구하고 싶다며 말을 꺼낸 이 공무원은 조직의 상사가 모바일 앱을 만들고 싶어 한다며 한숨을 쉬었다. 아무도 관심 없을 콘텐츠를 확산시키기 위해 큰 예산을 들여서 앱을 만들겠다는 구상은 테크나 미디어 업계 사람들에게는 어처구니없이 들리겠지만 우리나라에서 아주 흔하게 일어나는 일이다. 정부부처나 지자체에서만 일어나는 그런 것도 아니다. 대기업이나 심지어 디지털세계를 잘알고 있는 젊은 사람들로 구성된 스타트업 중에서도 앱을 만들고 나면 새로운 사업이 시작되고 없던 시장이 만들어질 것으로 생각하는 것을 종종 목격한다.

여기서 잠깐, ‘모바일 앱이 뭐 어때서?’라고 묻는 분들을 위해서 설명하자면, 업계에서는 ‘모바일 앱 시장은 끝났다’는 말이 2017년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사람들이 앱을 쓰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앱을 깔지 않는 추세가 뚜렷하다는 것이다. 믿어지지 않는다면 자신이 지난 한 달 동안 폰에 새로 설치한 앱이 얼마나 되는지 생각해보라. 요즘 깔리는 건 이미 다른 채널을 통해 많은 가입자를 가진 큰 기업들이 만든 앱인 경우가 많고, 실제 앱의 사용 시간 격차는 더 심해서 극소수의 앱에 편중되어 있다.

하지만 모두가 환상에 빠져 앱 제작을 하는 것은 아니다. 앱을 만들어봤자 아무도 다운로드하지 않을 거고 제작비와 운영비만 날리다가 결국 흐지부지 사라질 걸 알면서도 만드는 조직들도 있다. 대개는 예산 쓴 곳을 명확하게 보여줘야 하는 조직이 그렇게 한다. 세금을 쓰는 공공 영역이 그렇고, (역시 세금으로 운영되는) 정부 지원 사업으로 생존하는 좀비 스타트업들도 그렇다. 앱 제작은 그렇게 돈을 쓴 티를 내는 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전락한 것이다.

앱앓이와 비슷한 신종 질병이 유튜브병이다. 지난주 ‘미디어오늘’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일부 공공기관들이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예산 낭비가 심하다고 보도하면서, 심지어 2015년부터 무려 10억원에 가까운 돈을 퍼붓고도 구독자가 18명에 불과한 곳도 있다고 했다.

유튜브 채널 역시 그럴듯하게 만든 티가 나고, 인력을 배치할 명분이 있는 안전한 선택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단체장의 업적 홍보에 더할 나위 없이 좋다. 각 부처의 유튜브 채널에 가보면 부처장들의 대외행사를 기록한 내용들이 예외 없이 등장한다. 좋아요를 다섯 개도 받지 못하는 이런 기록물들로 채워진 채널은 우리 세대가 어릴 때 교실 뒤편을 장식한 ‘학급동정’과 비슷하다. 담임교사도, 학생도 관심이 없지만 장학사가 오기 전에는 반드시 만들어 두어야 했던 정체불명의 홍보 말이다.

세상에는 다양한 홍보방법이 존재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아주 단순해서 강제로 보게 하거나, 정말 재미있게 만들거나 두 가지 방법밖에 없다. 야구경기 중간에 나오는 광고나 드라마 속 간접광고(PPL), 도로 옆 대형 광고판은 사실상 피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전자에 속한다. 후자는 유튜브 같은 무료 디지털 플랫폼의 등장으로 생겨난 방법으로, 업계의 프로들도 아직 마스터하지 못한 신기술이라서 성공한 예는 많아도 성공을 반복하는 곳을 찾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앱 생태계를 모르고, 소셜미디어를 모르는 단체장과 조직의 리더들은 콘퍼런스 같은 곳에서 ‘2019 디지털 트렌드’ 따위를 열심히 주워들은 것으로 조직에 비전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조직의 리더급에 있는 분들이 ‘모바일 전략’을 내놓으라면 앱을 만들겠다고 하고, ‘디지털 홍보’를 구상하라면 유튜브 채널 운영을 내놓는 이유다.

결국 문제는 조직이다. 왜냐하면 어떤 조직에도 디지털과 모바일에 익숙한 젊은 직원들이 있고, 될 아이디어와 되지 않을 아이디어를 구분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이다. 조직에 그 사실을 아는 사람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트렌드를 모르는 리더가 내놓은 후진 아이디어를 온 조직이 따라야 한다는 것은 단순한 예산과 인력 낭비의 문제가 아니다. 리더는 앞을 못 보고, 의사소통은 상명하복적이어서 조직의 피라고 할 수 있는 아이디어는 이미 돌기를 멈췄고, 좋은 아이디어를 제시할 유능한 직원은 이미 탈출(퇴사)에 성공해서 조직에는 그저 시키는 대로 일하는 사람들만 남았다는 뜻이다. 디지털 세상에도 리더의 노력과 조직의 소통 문화가 필요하다.
2019-10-10 3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