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인 여행객 반토막’ 소식에 日 네티즌 반응

‘한국인 여행객 반토막’ 소식에 日 네티즌 반응

진선민 기자
입력 2019-09-19 20:50
업데이트 2019-09-19 23: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일 관계악화’에 日 정부 대변인 “중국, 미국 관광객은 늘었다”

日언론 “외국인 관광객 급감…日 경제 영향 커”
日누리꾼들, 혐한 감정 분출 “韓에 투자 안해야”
“韓 사소한 일에 극단적 반응…日기업 철수하자”
“한국인 말고 제대로 된 나라 사람들 오게 해야”
이미지 확대
장맛비가 내린 26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뒤로 일본 제품 불매 운동 포스터가 보이고 있다. 2019.7.26  연합뉴스
장맛비가 내린 26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뒤로 일본 제품 불매 운동 포스터가 보이고 있다. 2019.7.26
연합뉴스
역사를 반성하지 않는 일본에 대한 불매운동의 여파로 일본을 찾는 한국인 여행객이 크게 줄면서 일본 관광업계의 피해가 현실화되고 있다. 이런 와중에 일본에서는 “한국인 고객을 타깃으로 한 산업은 위험하다”면서 “코리아 리스크를 벗어나자”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19일 아사히신문, 마이니치신문 등 일본의 주요 일간지 4곳은 한국인 관광객이 전년보다 절반 가까이 줄었다는 일본정부관광국의 발표 내용을 조간 신문 1면에 다루며 우려를 표했다.

아사히 신문은 이날 ‘한국으로부터 방일객 반감, 대한국 식품 수출은 40% 감소’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한·일 갈등이 완화될 징조가 보이지 않는 가운데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가 목표로 하는 ‘2020년 외국인 관광객 4000만명 달성’도 어려워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요미우리신문은 “한국인 관광객이 줄면서 지난달 전체 외국인 방문자 수도 11개월 만에 전년보다 감소했다”고 지적했다. 도쿄 신문도 “목표 달성에 먹구름이 끼었다”고 표현했다.

야후재팬 등 일본 최대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는 한국인과 한국의 일본 제품 불매운동을 향한 일본 누리꾼들의 비난 여론이 커지고 있다.

큐슈에 거주한다고 밝힌 한 누리꾼은 불매 운동을 다룬 중앙일보 일본어판(19일자) 보도에 대해 “아직도 한국인이 많다. 반일 외국인은 0명이 됐으면 좋겠다”고 혐한 반응을 보였다.
이미지 확대
불매운동 이후 대마도 경제 직격탄
불매운동 이후 대마도 경제 직격탄 일본 불매운동 이후 대마도 지역경제가 직격탄을 맞았다. 8일 오후 일본 대마도 이즈하라에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쇼핑몰인 티아라몰에 한국인을 환영한다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2019.8.9
연합뉴스
한국인 고객에 의존해 온 관광산업 구조를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일본정부관광국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전체 관광객 중 한국인은 24%에 달한다. 중국(27%)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한다.

한 누리꾼은 “언제 갑자기 적으로 돌아설지 모르는 나라에 의존해 돈을 버는 건 위험하다”면서 “리스크 분산은 비즈니스의 기본인 만큼 우방국인 나라에서 관광객을 유치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다른 누리꾼도 “사소한 일에 극단적인 반응을 보이는 한국인에게 의존했던 관광시설은 반성하고 제대로 된 나라 사람이 오도록 해야 한다”며 한국을 비난했다.

한국의 유니클로 불매운동을 다룬 일본 잡지 SPA의 16일자 보도에는 “유니클로 등 일본 기업은 한국에서 철수하고 향후 한국 투자를 삼가야 한다”는 댓글이 1800여명의 공감을 얻었다.

한편 일본정부관광국은 지난달 일본을 찾은 한국인 여행자는 30만 87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8% 줄었다고 밝혔다. 불매운동이 시작된 7월(7.6%)보다 감소 폭이 급증해 캠페인이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이와 관련,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이날 “한국인 관광은 줄었지만 중국과 미국, 동남아는 대폭 늘었다”면서 “폭넓은 지역에서 관광객이 오도록 적극 홍보하겠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22대 국회에 바라는 것은?
선거 뒤 국회가 가장 우선적으로 관심 가져야 할 사안은 무엇일까요.
경기 활성화
복지정책 강화
사회 갈등 완화
의료 공백 해결
정치 개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