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상에서 페미니스트가 가장 적은 나라는..덴마크?

세상에서 페미니스트가 가장 적은 나라는..덴마크?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19-05-10 20:01
업데이트 2019-05-11 1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덴마크 여성 6명 중 1명만 “나는 페미니스트”

이미지 확대
덴마크 코펜하겐 트리볼리 가든 입구에서 여성들이 자전거를 들고서 기다리고 있다. 코펜하겐 로이터
덴마크 코펜하겐 트리볼리 가든 입구에서 여성들이 자전거를 들고서 기다리고 있다. 코펜하겐 로이터
여성 6명 중 단 1명만이 스스로 페미니스트라고 여기며, 5명 중 2명은 미투(#MeToo·나도 피해자다) 운동에 대해 비판적인 나라가 있다. 성불평등이 심하거나, 여성 인권에 대한 인식이 낮은 나라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은 북유럽 국가인 ‘덴마크’다. 여성들의 사회 진출 비율이 높고 남녀 임금 격차도 적은 데다 독박 육아를 하지 않아도 되는 나라에서 왜 이런 결과가 나왔을까.

영국 가디언은 10일(현지시간) 여론조사기관 유고브 캐임브리지 글로벌리즘 프로젝트가 주요 23개국 2만 5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덴마크 여성 중 스스로 페미니스트라고 여기는 여성은 16% 정도라고 전했다. 이웃나라인 스웨덴(46%)의 절반도 채 되지 않을뿐더러, 성평등 지수가 더 낮은 스페인이나 이탈리아, 영국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미투 운동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 덴마크 여성도 5명 중 2명이나 됐다. 영국이나 독일, 스웨덴은 물론 미투가 가장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미국보다도 높다. 미투 운동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덴마크 여성들은 단 8%에 불과했다. 남성은 4%로 여성의 절반에 그쳤다. 이웃나라 스웨덴에선 여성의 34%, 남성의 16%가 매우 긍정적으로 미투 운동을 바라봤으며, 각국 평균도 각각 24%, 19%나 됐다.

덴마크 로스킬데 대학 릭케 안드레산 커뮤니케이션학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덴마크의 미디어는 미투 운동을 ‘문화면’나 ‘오피니언면’에서 다루었으며 매우 소수의 남성만이 미투의 대상으로 지목됐다. 스웨덴을 비롯한 다른 여러나라들이 정치면이나 사회면에서 미투 운동을 다룬 것과는 대조적이다. 안드레산 교수는 “많은 덴마크 사람들이 ‘여성들이 괴롭힘을 당하는 건지 아니면 여성들이 너무 예민한 건지’에 대해서만 쓰고 있다”면서 “그리고 무고하게 비난당한 남성이 어떤 일이 생기는 지에 대해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프랑스에서는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는 ‘울프 휘슬링’에 대해서도 덴마크 여성 3명 중 1명은 괜찮다고 봤다. 자신을 페미니스트라 여기는 여성보다 훨씬 많은 여성이 남성들이 휘파람을 불며 관심을 표하는 것에 대해 괜찮다고 응답한 것으로, 조사국 중에서는 나이지리아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울프 휘슬링은 남성들이 지나가는 여성에게 성적 매력을 느껴 자신의 관심을 표현하거나 매력을 인정한다는 의미로 자신의 입 안에 손가락을 넣어 센 휘파람을 부는 행위를 말한다. 남성들이 불특정 여성에게 날리는 성적 희롱을 의미하는 ‘캣콜’이나 ‘캣콜링’과 유사한 범주로 묶이지만, 일각에서는 둘을 구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덴마크 여성들의 이러한 인식에 대해 안드레산 교수는 “덴마크에선 좋은 의도 때문이라면 용서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인해 낮은 정도의 성희롱을 관대하게 바라보는 문화가 있다”면서 “의도한 게 아니라면 인종차별적이거나, 성차별적인 발언으로 해석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안데르산 교수는 이러한 문화적 배경에 대해 긍정하지만은 않았다. 그는 “덴마크 정치권은 여성에 대한 인권 유린이 무슬림 국가에서만 일어난다고 여긴다”면서 “어쩌면 덴마크는 진짜 미소지니스트(여성혐오자)일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민나리 기자 mnin1082@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