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터키 이스탄불 공항 테러 배후는 IS 체첸분파 두목”

“터키 이스탄불 공항 테러 배후는 IS 체첸분파 두목”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7-01 10:12
업데이트 2016-07-01 1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테러범 3명 구소련 출신…시리아 접경 부실통제가 큰 위협요소

이미지 확대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공항 테러 희생자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공항 테러 희생자 28일(현지시간) 터키 최대도시 이스탄불의 아타튀르크 국제공항에서 자살폭탄 테러가 발생했다. 사진은 이날 자살폭탄 테러가 발생한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에서 구조대원들이 희생자의 시신을 옮기는 모습. 2016-06-29 사진=AP 연합뉴스
터키 이스탄불 공항에서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밤 발생한 자살 폭탄 테러의 테러범 3명이 모두 구 소비에트연방 무슬림지역 출신으로 드러난 가운데 극단주의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 체첸분파를 이끌었던 인물이 이번 테러를 조직한 것으로 알려졌다.

1일 터키 관영 아나돌루 통신과 친정부 성향 일간 예니샤파크 등에 따르면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자폭 테러의 범인은 러시아(다게스탄자치공화국),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국적자다.

이 가운데 다게스탄 출신인 오스만 바디노프는 2015년 IS의 심장부인 시리아 락까에 머물다가 터키로 넘어간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바디노프는 다게스탄 접경의 체첸공화국 출신으로 알려졌지만, 러시아 인테르팍스 통신은 북코카서스 지역 경찰 관계자를 인용해 이는 사실이 아니라고 전했다.

범인들의 출신지인 다게스탄과 우즈베크, 키르기스는 모두 무슬림 인구가 다수인 구소련 지역이다.

터키 일간 예니샤파크는 이번 테러를 조직한 인물은 체첸 출신인 아흐메드 샤타예프라고 보도했다.

샤타예프는 IS 모집책 역할을 맡아 왔으며 2015년 10월 미국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의 대테러 제재 대상으로 지정돼 사실상 테러리스트로 ‘공인’된 인물이다.

미 재무부는 그를 “(IS) 체첸분파 중 하나인 ‘야르무크군’의 사령관”으로 지목했으며 이전까지 그의 생사는 확인되지 않아 왔다.

터키 당국은 샤타예프가 수사 대상에 포함돼 있는지 공식 확인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범인들의 출신 지역과 주동자에 관한 이런 언론 보도는 이번 테러 배후로 IS를 지목한 터키 당국의 추정에 무게를 실어준다. IS는 그동안 구 소련 무슬림 지역에서 신규 대원을 모집해 왔다.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작년 10월 IS에 가입한 구 소련 무슬림 지역 출신이 5000∼7000명이라고 추정한 바 있다.

다만 안보 컨설팅 업체 수판그룹은 작년 12월 러시아 출신 IS 조직원 수를 2400명, 우즈베크와 키르기스 출신을 각각 500명씩으로 더 낮게 집계했다.

최근 잇따라 테러에 노출되는 상황에서 이번 테러가 외국인 조직원들의 소행으로 드러나면서 터키가 부메랑을 맞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터키가 앞서 수년간 시리아 지하디스트(이슬람 성전주의자)들의 활동을 묵인하거나 방조한 것이 이번 테러의 원인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2011년 시리아 내전이 시작된 이후 수년간 시리아와 맞댄 터키의 국경은 지하디스트와 무기가 양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지 않았다는 것이다.

서방에서는 이 같은 터키 정부의 태도 때문에 결국 IS가 성장할 환경이 조성됐다고 비판하고 있다.

국경 단속을 더 철저히 하라는 압박이 쏟아지자 터키 정부는 서방세력이 터키가 시리아 난민 300만명을 받아들인 사실은 무시하고 근거 없는 공격을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2015년 이라크·시리아에서 서방의 공세가 심해진 IS가 터키를 비롯한 외국 공격을 늘리기 시작하자 터키는 그제야 IS 격퇴전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최근에는 IS 격퇴전을 벌이는 미국 주도 국제동맹군에 점점 더 활발히 참여하는 동시에 점점 더 테러 공격에 취약한 곳이 되고 있다고 BBC는 지적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