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우리말 겨레말] 왜곡, 외곡, 의곡

[우리말 겨레말] 왜곡, 외곡, 의곡

이경우 기자
입력 2016-04-21 15:04
업데이트 2016-04-21 15: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왜곡’(歪曲)이 넘쳐난다. 이번엔 중국이고, 시인 윤동주다. 윤동주의 국적이 중국이란다. 서울시인협회는 20일 중국이 용정 명동촌의 윤동주 생가에 ‘중국 조선족 애국 시인 윤동주’라는 안내석을 세웠다고 밝혔다. 중국 동북 지역을 모두 자신의 역사로 둔갑시키는 동북공정의 하나다. 중국은 고구려, 발해도 자기들의 역사라고 억지를 부렸다.

일본은 더 심하다. 고대사는 물론 근현대사까지 조작한다. 일찍이 한반도 남부를 일본이 지배했다고 주장한다. 이른바 임나일본부설이다. 올바른 역사 해석이 아니었다. 침략의 정당성을 찾기 위한 구실에 불과했다.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주장은 고교 교과서에 반영하기까지에 이르렀다. 일제강점기 자신들이 저지른 야만적 행태를 감추고 조작하는 것에도 서슴지 않았다. 일본군 위안부를 강제로 동원한 사실이 없다고 꾸며 댄다. 모두 역사를 구부리고 비트는 일, 왜곡이었다.

‘왜곡’은 말 자체도 여러 곡절을 겪었다. 지금은 누구나 ‘왜곡’이라고 하지만, 한때는 ‘왜곡’, ‘외곡’, ‘의곡’으로도 쓰였다. 1960년 봄 한 신문에는 이와 관련해 한 국어학자의 글이 실렸다. 당시 서울대 이응백 교수는 국어사전들이 ‘왜곡’을 어떻게 표기하고 있는지 전했다. ‘왜곡’이라고 한 사전이 네 곳, ‘의곡’이라고 한 사전이 여섯 곳이라고 밝혔다. 옥편들은 대부분 ‘왜’(歪)를 ‘의’로 표기하고 있었다. 그는 ‘훈몽자회’에는 ‘왜’, ‘강희자전’에는 ‘외’로 돼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1964년 여름 또 다른 신문에는 ‘왜곡’이 아니라 ‘의곡’이 맞지 않느냐는 독자의 의견이 실렸다. 그 독자는 학교에서 ‘의곡’이라고 배웠는데, 왜 ‘왜곡’이냐고 물었다. 한글학회의 사전, 민중서관의 사전 등 주요 사전들이 ‘왜곡’이었다. 각 신문도 ‘왜곡’으로 쓰고 있다는 답변을 했다. 이것은 ‘훈몽자회’에서 연유한다고도 전했다. 조선 중종 때 최세진이 지은 ‘훈몽자회’는 어린이들을 위한 한자 학습서였다.

‘왜곡’에 대한 혼란은 1990년대 초까지도 조금 남아 있었다. 1993년 ‘왜곡’인지 ‘의곡’인지 또 독자가 물었다. ‘의곡’, ‘외곡’도 틀렸다고 할 수 없으나, 통상 ‘왜곡’으로 쓴다는 게 답변이었다. 옥편에는 ‘왜’(歪)가 ‘왜’, ‘외’, ‘의’ 세 가지로 나와 있다고 했다.

한 단어가 두 가지 이상의 음으로 읽히는 것은 큰 불편을 초래했다. ‘왜곡’, ‘의곡’, ‘외곡’을 하나로 통일하는 작업이 필요했다.

언론인이자 국어학자였던 고 정재도 선생이 발 벗고 나섰다. 그는 처음부터 ‘왜곡’을 주장했다. 그는 생전에 ‘말과글’과의 인터뷰에서 ‘의곡’을 주장하는 학계를 끊임없이 설득했다고 했다. 지상 토론도 펼치고 논문도 발표했다. 그의 주장도 ‘훈몽자회’를 따른 것이었다. 지금 국어사전에서 ‘외곡’을 찾으면 ‘왜곡’으로 가라는 화살표가 보인다. ‘의곡’도 마찬가지다.

해방 이후 북녘에서는 달리 통일한 모양이다. 북녘에서는 ‘왜곡’을 ‘외곡’이라고 한다. 일본의 역사 왜곡 문제가 나올 때 우리는 ‘왜곡’이라고 하지만, 북녘에서는 ‘외곡’이라고 한다. 남과 북의 언어 차이도 커지고 있다.

이경우 기자 wlee@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