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더민주, 당권경쟁 후보군 속속 윤곽…신경전 고조

더민주, 당권경쟁 후보군 속속 윤곽…신경전 고조

입력 2016-04-19 11:17
업데이트 2016-04-19 1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첫 난제 ‘김종인 합의추대론’ 논란 증폭…‘열쇠’는 문재인

더불어민주당이 새 대표를 선출하기 위한 전당대회 준비에 나선 가운데 당권 경쟁을 위한 대진표가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더민주는 이르면 20일 전당대회준비위원회, 조직강화특위, 선거관리위원회 등 전대에 필요한 기구 구성을 끝내고 전대 준비 작업에 본격적으로 착수할 예정이다.

차기 당권 후보로는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가 거론되고 있으며, 정세균 전 대표, 박영선 전 원내대표, 송영길 전 인천시장, 김진표 전 의원, 정청래 의원 등 이름이 오르내린다.

김 전 의원은 19일 MBC 라디오에 출연해 “정권교체에 필요하다면 당대표든 무엇이든 마다하지 않겠다”고 밝혔고, 정 의원은 CBS 라디오에 나와 “전국적으로 강력하게 요청받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박 전 원내대표 “고민해볼 필요는 있다고 생각한다”며 출마 여지를 뒀고, 송 전 시장은 이미 총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당선시 당대표 출마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다만 두 사람은 중도성향 중진급 모임인 ‘통합행동’ 소속이어서 조율을 통해 후보를 단일화하지 않겠냐는 전망도 있다. 통합행동 소속인 김부겸 전 의원은 전대 불출마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는 관측이 강하다.

통합행동의 한 인사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달말에 통합행동 모임을 할 예정이다. 후보를 통일할 수 있다면 통일하는 게 좋지 않겠냐”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김종인 합의추대론’이 여전히 가장 먼저 풀어야할 숙제로 남아있다.

김 대표 측은 수권정당으로의 변화를 위해 총선 승리를 견인한 김 대표의 역할이 남아 있다면서 당내 공감대가 형성되길 기대하는 분위기다.

김 대표 측은 “당내 중진들도 있고 전대 출마하려는 사람들도 있는데 합의가 되면 추대로 가는 것이지만 협의가 안되면 경선을 할 수밖에 없지 않냐”며 “그러나 김 대표는 경선까지 해서 당 대표를 할 생각이 없음이 분명하다. 억지로 합의추대를 받아낼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김진표 전 의원은 “추대를 하더라도 전대를 해야 한다. (경선이) 의회민주주의와 정당정치의 정도(正道)”라고 말했다.

정청래 의원은 “‘셀프 합의추대’는 북한 노동당 전대에서는 가능한 일”이라며 당 지도부의 태도가 염치없다고 비판한 뒤 “이번 총선 승리의 견인차는 20대, 30대들이 대거 투표장으로 나온 것 아니냐”, “(승리는) 그 분(김 대표)이 아니었어도 가능했을 것”이라고 연일 김 대표를 공격했다.

또 트위터에 글을 올려 “비리 혐의로 돈먹고 감옥간 사람은 과거사라도 당대표 자격 기준에서 원천배제해야 한다”며 김 대표의 과거사까지 거론했다.

결국 ‘김종인 합의추대론’의 향배는 문재인 전 대표의 의중이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문 전 대표는 지난 8일 “저는 앞으로 당권에는 일체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유력 잠룡인데다 당내 최대 계파를 형성하고 있는 만큼 그의 입장이 최대변수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또 문 전 대표가 어떤 태도를 취할지는 그가 지난 1월 김 대표를 영입한 이후 전략적 제휴라는 평가까지 받은 두 사람의 관계가 어떻게 귀결될지와도 연결돼 있다.

한 친문(친문재인) 인사는 “김 대표는 총선에서 1당이 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 일등공신으로 김 대표의 역할은 여전히 필요하다”며 “다만 끝까지 경선하겠다는 사람이 있다면 합의추대는 어려운 만큼 현명한 해결책을 찾아내야 한다”고 말했다.

문 전 대표 측은 “합의추대는 당에서 판단할 부분이지, 문 전 대표가 이러쿵저러쿵할 일이 전혀 아니다”며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더 할 말이 없다”고 말문을 닫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