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재해 대처는 정치시험대’…아베, 구마모토 대응에 총력

‘재해 대처는 정치시험대’…아베, 구마모토 대응에 총력

입력 2016-04-19 10:49
업데이트 2016-04-19 1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벽·한밤 가리지 않고 비상회의 소집, 신속지원 지시동일본대지진 미숙 대처 민주당 ‘몰락’ 목격…구마모토 수습에 정치운명

“주민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서 응급 재해 대책 마련에 전력을 다하겠다.”

일본 구마모토(熊本)현에 규모 6.5의 강력한 지진이 엄습한 지난 14일 밤 이같은 ‘결연한’ 수습 의지가 담긴 아베 신조(安倍晋三·61) 총리의 얼굴이 NHK를 통해 전국으로 생방송됐다.

아베 총리는 이날 강진 발생 보고를 받은 뒤 곧바로 정부 비상재해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면서 정부가 하나가 돼서 지진 피해 상황 파악 및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각의(국무회의)에서도 재차 신속한 대응을 강조했다.

이어 더 강력한 규모 7.3의 2차 지진이 찾아온 16일 새벽에도 아베 총리는 TV카메라 앞에 서서 “피해 상황 파악과 구조 및 구명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19일 오전 기준으로 44명이 사망하고, 실종자가 8명, 부상자가 1천55명에 달하는 대형 재해 앞에서 아베 총리가 수습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한밤중이든 새벽이든 시간을 가리지 않고 긴급 대책회의를 주재하는 등 재해 대책을 직접 나서서 진두지휘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이런 행보는 위기 상황을 올바로 대처하지 못할 경우 지지율 추락에 이은 정권 붕괴라는 최악 시나리오를 차단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정치권은 보고 있다. 그가 이번 재해 대책에 정치운명을 걸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실제 사망 1만5천873명, 실종 2천744명, 부상 6천114명의 최악의 피해가 발생한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간 나오토(菅直人) 민주당 정권은 시종 허둥대는 모습을 보였다.

당시 각 지방자치단체에 구호품이 쇄도했지만 민주당 정권은 이런 구호품을 어떤 절차를 거쳐, 어떤 수송 방법으로 현지에 전달할지 등이 재해대책 매뉴얼에 나오지 않았다면서 한동안 창고에 싸놓았다가 여론의 호된 질책을 받았다.

이는 지지율 폭락으로 이어지면서 다음 해 총선에서 아베 총리를 중심으로 한 자민당에 정권을 헌납해야 했다.

민주당 정권의 재해 대응 과정과 몰락을 직접 목격하고, 그런 민주당으로부터 정권을 빼앗아 온 아베 총리로서는 이번 구마모토 강진에 대한 대응의 중요성을 그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것이다.

2012년말 취임 이후 ‘아베노믹스’로 상징되는 경기활성화 정책과 함께 그는 헌법 개정을 가장 중요한 과제이자 최종 목표로 삼았다.

지난해 우여곡절끝에 안보관련법을 국회에서 강행처리하고 올해 개헌론에 불을 지피는 상황에서 대형 재해가 터진 만큼 그로서는 이번 구마모토 강진이 위기이자 기회가 되는 셈이다.

과거 민주당 정권처럼 허둥대는 모습을 보였다가는 총리직 퇴진 압박으로까지 몰릴 수 있지만 당시와는 전혀 다르게 선제적 대응을 통해 조기에 수습할 경우엔 오히려 그의 행보에 탄력이 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아베 총리는 초기 대응은 합격점을 받은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마이니치신문이 2차강진 발생 후인 16∼17일 벌인 전화 여론조사 결과 구마모토 강진에 대한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대응이 적절하다는 의견이 65%에 달했다. 대신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은 13%에 그쳤다.

한편 아베 총리의 재임 기간이 19일 기준으로 1천577일을 기록하며 역대 5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 9월 1차 내각에서 총리를 역임했던 기간을 포함한 것이다.

역대 일본 총리 가운데 재임기간이 최고 기록은 사토 에이사쿠(佐藤榮作) 전 총리다. 그는 1964년 11월부터 1972년 7월까지 2천798일간 총리를 맡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