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죽은 시인의 사회?… 스테디셀러 시집의 존재감

죽은 시인의 사회?… 스테디셀러 시집의 존재감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6-04-13 22:26
업데이트 2016-04-14 0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형도·이성복 등 매년 중쇄… 출판 20~30년 지나도 인기

TV·SNS로 젊은 시인에 호응 “수요 꾸준 … 건강한 성장 상징”

책이 안 팔리고 시가 안 읽힌다는 자조가 일상인 시대다. 이런 시류에도 끊임없이 독자들의 호출을 받으며 굳건히 존재감을 곧추세우는 시집들이 있다. 출간된 지 많게는 수십년, 적게는 수년이 흘러도 매년 쇄를 거듭해 찍는 스테디셀러들이다. 기형도, 이성복, 황지우, 최승자, 정호승, 최영미, 도종환 시인 등 문단을 묵직하게 지켜 온 원로, 중견 시인들의 시집은 출간된 지 20~30년이 지났어도 매년 한두 차례 중쇄하는 건 기본이다. 출판사와 판매 추이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시집은 1쇄를 500부~3000부가량 찍는다.

기형도 시인의 유고 시집 ‘입 속의 검은 잎’은 문학과지성사(이하 문지) 시인선 가운데 가장 많이 팔려 나간 시집이다. 1989년 스물아홉의 나이로 갑작스럽게 요절한 시인의 사후 2개월 뒤 출간된 시집은 매년 8000~9000부를 찍을 정도로 여전히 각광을 받으며 ‘기형도 현상’을 이어 가고 있다. 13일 현재까지 중쇄 횟수만 56쇄, 팔려 나간 부수는 28만 5000부에 이른다.

1980년 나온 이성복 시인의 첫 시집 ‘뒹구는 돌은 언제 잠 깨는가’도 매년 증쇄하는 대표적인 스테디셀러다. ‘뒹구는 돌…’은 지난해 11월 50쇄를 찍었고 2개월 만인 지난 1월에 51쇄를 다시 찍었다. 이 책은 지금껏 6만 7000부가 판매됐다. 황지우 시인의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1999)는 33쇄(10만 6000부), 최승자 시인의 ‘이 시대의 사랑’(1981)은 44쇄(4만 6000부)를 찍었다.

창비 시인선에서는 최영미 시인의 ‘서른 잔치는 끝났다’(1994)가 51쇄를 찍어 52만부가, 정호승 시인의 ‘사랑하다가 죽어버려라’(1997)는 40쇄를 찍어 13만부가 팔려 나갔다.

최근에는 TV 방송,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팟캐스트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향유되고 입소문을 탄 젊은 시인의 시집들도 독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케이블 채널 tvN의 책 소개 프로그램 ‘비밀 독서단’에서 다뤄지며 폭발적인 증쇄에 들어간 박준 시인과 심보선 시인의 시집이 대표적인 예다.

2012년 출간된 박준 시인의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을 먹었다’는 지난해 9월 방송을 타면서 지난 1년간 무려 14차례(4만 6000부) 찍었다. 지금까지 6만부가 나가면서 2011년 시작된 문학동네 시인선에서 가장 많이 팔린 시집이 됐다.

심보선 시인의 첫 시집 ‘슬픔이 없는 십오 초’(2008)는 문지 시인선에서 최근 1년간 가장 많은 중쇄(7차례) 및 부수(1만 9000부)를 찍어 총 3만 5000부(24쇄)가 나갔다. ‘비밀 독서단’에서 다뤄진 지난해 11월 한 달 동안에만 네 차례 증쇄할 정도로 인기였다.

3년 전 출간된 한강 작가의 첫 시집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는 기존에도 꾸준히 찾는 독자들이 많았지만 최근 맨부커상 후보에 오르며 더 주목을 받는 사례다. 1만 6000부(9쇄)가 팔린 시집은 지난해 10월에 이어 지난 4일 3000부를 더 펴냈다.

이근혜 문지 편집장(문학 담당)은 “요즘 출판 환경에서는 독자들이 책을 안 읽는다고 난타하는 분위기가 지배적이고 출간 직후에만 ‘반짝’ 팔리고 사라지는 책들이 대부분”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세월이 지난 시집을 꾸준히 찾는 독자들이 있고 이를 절판하지 않고 계속 펴내는 출판사들이 있다는 건 시장 일부에선 건강한 성장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현상”이라고 짚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6-04-14 25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