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소금의 문화 다양성/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소금의 문화 다양성/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6-02-29 23:52
업데이트 2016-03-01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명품 소금의 대명사처럼 우리에게 알려진 게랑드 소금은 대서양에 면한 프랑스 북서부 브르타뉴 지방의 게랑드에서 만든다. 게랑드 염전의 1만 2000개 남짓한 결정지에서 한 해 8000~2만 5000t의 소금을 생산한다. 게랑드 소금은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소금과 같은 천일염이다. 바닷물을 논처럼 생긴 결정지에서 증발시켜 소금을 얻는다.

게랑드 소금이 유명해진 이유의 하나는 염전으로 최적의 환경을 가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게랑드 염전의 지반은 모래가 퇴적하면서 형성됐고, 그 위에 점토질 충적토가 더해졌다. 점토질이 함유한 풍부한 미네랄이 맛있는 소금의 조건이 됐고, 물이 잘 스며들지 않는 점토질 바닥은 또한 소금 생산량도 늘렸다는 것이다.

국립민속박물관이 펴낸 사진집을 겸한 보고서 ‘세계의 소금-염전에 가다’에 나오는 내용이다. 먹는 것이 삶의 질을 결정하는 척도인 시대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런 분위기를 타고 국내에서도 소금에 대한 관심이 높다. 최근의 논쟁 가운데 하나는 우리 천일염이 일제강점기 이식된 것으로, 전통적인 자염(煮鹽)보다 질이 낮다는 것이다. 하지만 보고서는 이 논쟁에도 생각할 ‘꺼리’를 제공한다.

자염은 갯벌 흙에 여러 차례 바닷물을 뿌리고, 이 흙에 여과시켜 더욱 짜진 바닷물을 끓여 소금을 얻는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 흙에 축적된 미네랄이 짠물에 녹아 소금의 질이 높아진다는 이론이다. 지난해 충남 태안의 전통 자염 생산 현장을 둘러보면서 소금이란 결코 쉽게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역시 태안에서 생산된 천일염의 맛도 자염과 비교해 충분히 경쟁력이 있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도 자염이 활발하게 생산되고 있는 나라가 라오스다. 베트남과 태국, 캄보디아, 중국, 미얀마에 둘러싸여 바다가 없는 라오스는 깊게는 150m에 이르는 암염층에서 끌어올린 염수를 끓여 소금을 얻는다. 우리의 전통 자염 생산 방식과 조금 다른 것은 지하수의 염도가 26도에 이르는 만큼 염도를 높이는 작업이 필요치 않다는 것이다.

정작 일본에는 우리에게 이식했다는 천일염전이 없다는 것을 확인한 것도 흥미롭다. 일본 역시 전통 소금은 자염이지만, 1972년 이후 국가 정책으로 염전을 모두 폐지했다고 한다. 그러니 일본 국민은 대부분 이온교환 방식의 정제염을 먹고 있다. 자염은 소규모 소금 회사와 관광이나 체험용으로만 남아 았다는 것이다.

이 밖에 다양한 제염법을 가진 중국과 인도 구자라트의 란오브커치 사막염전, 이탈리아 시칠리아의 트리파니 염전, 폴란드 비엘리치카의 소금광산, 페루 안데스산맥의 마라스 계단 염전을 소개했다. 짠물에 담갔다가 태운 재에서 추출하는 파푸아뉴기니의 재소금도 재미있다. 민속박물관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내년에 소금 전시회도 열 것이라고 한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6-03-01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