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정운찬도 더민주行 무게…박영선 “정치하면 합류할 것”

정운찬도 더민주行 무게…박영선 “정치하면 합류할 것”

입력 2016-01-21 13:26
업데이트 2016-01-21 1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金·鄭과 30년 한 얘기 한군데서 해야하지 않겠냐 대화 나눴다”김종인, 鄭에 중책 제안한 듯…내주께 합류 관측도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전 원내대표가 21일 탈당 기로에서 잔류를 선택, 이제 시선은 정운찬 전 국무총리에게 향하고 있다.

‘동반성장의 전도사’를 자임해온 정 전 총리는 더민주와 안철수 의원의 가칭 ‘국민의당’ 양쪽으로부터 러브콜을 받으면서 박 전 원내대표와 함께 야권 분당 국면의 캐스팅보트로 떠올랐다. 특히 정 전 총리가 충청 출신이라는 점에서 두 야당세력 모두 중원 공략을 위해 그의 영입에 사활을 걸어왔다.

당 잔류 입장을 공식화한 박 전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정 전 총리도 더민주에 합류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정치를 만약 하신다면 그럴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며 더민주행(行)에 무게를 실었다.

다만 “전화해서 직접 물어보시라”며 구체적 언급은 자제했다.

‘정치를 하는 쪽으로 많이 기울어있느냐’는 질문에 고개를 끄덕였으며 김종인 선대위원장이 정 전 총리에게 역할을 제안했냐는 물음에도 “그럴 수 있다”고 부인하지 않았다.

구체적 역할에 대해선 즉답을 피한 채 “정 전 총리와 김 박사의 인연도 30년이 됐고, 저와 김 박사의 인연도 30년 됐다”며 “30년동안 한 얘기를 한군데서 모아서 해야하는 것이 아니냐는 사적인 대화는 있었다”고 말했다.

더민주가 대화의 장이 될 것이냐고 묻자 “그렇게 되길 기도해야겠죠”라며 웃었다.

박 전 원내대표는 또한 “정 전 총리와 최종적 상의를 드렸고, ”총장님의 마지막 과업이 동반성장이라면 이 일을 할수있는 사람들이 어느 한곳에서 힘 발휘해야 하는 것 아닌가‘ 말씀을 드렸는데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동의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 전 총리와 같이 움직인다는 것이 같은 날 움직인다가 아니라 뜻을 같이한다는 얘기“라고 부연했다.

박 전 원내대표는 이번 분당 국면에서 경제민주화와 재벌개혁 등을 골자로 한 ’새경제‘의 가치를 전면에 내세웠으며, 정 전 총리를 이러한 가치를 함께 실현해나갈 동반자로 꼽으며 공동행보 방침을 밝힌 바 있다.

박 전 원내대표는 거취에 대한 최종 결심에 앞서 전날 정 전 총리와 별도로 회동을 하고 향후 진로를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위원장이 정 전 총리에게 중책을 제안했다는 얘기도 흘러나왔다.

이와 관련, 정 전 총리는 일부 가까운 인사들에게 ”김 위원장이 친노와 86(80년대 학번·60년대생) 의 문제점을 어떻게 물리칠지 밖에서 지켜보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져 최종 결심이 주목된다. 야권 안팎에서는 정 전 총리의 최종 결심 시기가 내주 쯤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박 전 원내대표가 당 야권통합위원장(가칭) 제안을 수락, 정 전 총리 영입을 첫 임무로 추진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박 전 원내대표의 당 잔류로 보수와 진보 양극단에서 벗어나 중도적 가치를 추구해온 ’중간지대‘ 인사들의 거취도 관심을 모은다.

박 전 원내대표는 김 위원장과 정 전 총리, 장하성 고려대 교수, 김광두 국가미래연구원장 등과 함께 경제개혁 문제 등을 고리로 의견교환을 자주해왔다.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등과도 막역한 사이이다.

이 그룹 김 위원장, 박 전 원내대표는 더민주, 윤 전 장관은 국민의당을 택했고, 장 교수는 국민의당에 공식 합류하진 않았지만 안철수 의원에게 조언을 해주고 있다. 박 전 원내대표의 신당행을 주장했던 이 교수에 대해 박 전 원내대표는 ”최근 대화를 많이 하진 않았다“며 ’설득할 것이냐'는 질문에 ”생각을 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