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금융연구원 “미국 금리인상에 소비자물가가 최대 변수”

금융연구원 “미국 금리인상에 소비자물가가 최대 변수”

입력 2016-01-03 12:07
업데이트 2016-01-03 1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달러 강세로 신흥국 기업 채무상환 부담 커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앞으로 정책금리를 인상할 때 소비자물가가 가장 중요한 고려 대상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금융연구원 금융동향센터는 3일 ‘미국의 금리 인상과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앞으로 미국의 금리정책 결정에는 소비자물가상승률 추이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미 연준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물가지표인 근원 민간소비자지출 물가지수 상승률은 목표치인 2%를 3년 연속 하회했다.

미국 상무부에 따르면 작년 11월 민간소비지출 물가지수는 2014년 11월보다 1.3% 상승하는 데 그쳤다.

이와 관련, 재닛 옐런 미 연준 의장은 소비자물가가 예상과 달리 점진적으로 상승하지 못하면 통화정책 경로의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견해를 피력했다.

금융동향센터는 또 중국·유럽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경기 둔화와 신흥국의 채무 위기 등으로 미국 경제성장률이 부정적인 영향을 받거나 금융시스템이 불안해지면 연준이 금리인상 속도를 낮출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연준의 통화정책 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의 금리 전망치(중간값)가 올해 말 1.375%, 내년 말 2.375%, 2018년 말 3.250%로 나타났지만 실물경기 방향에 따라 금리 인상 속도가 더 느려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미국은 작년 12월 기준금리를 0.00%∼0.25%에서 0.25%∼0.50%로 0.25%포인트 올려 7년 동안 유지해온 ‘제로금리’ 시대를 끝냈다.

금융동향센터는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미국 달러화 강세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신흥국으로부터 자본 유출이 확대되고 신흥국 기업들의 채무상환 부담은 더 증대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인 저금리 기조로 신흥국 기업들이 차입 규모를 크게 늘려왔다며 달러화 표시 부채가 많은 터키, 러시아, 브라질의 채무 부담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