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女리더십, 정치논리에 의해 선택됐다
■ 여왕의 즉위632년 정월, 진평왕이 아들이 없이 죽자 그의 딸 덕만이 왕위에 올랐다. 바로 선덕여왕이다. 덕만이 왕위에 오른 그 자체가 커다란 정치적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여성이 왕위를 계승한 것이 그때까지 한 번도 없었던 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선덕여왕의 즉위에는 ‘남자 성골이 없어서’라는 명분이 내세워졌다. 그러면 왕위에 오를 수 있는 자격은 반드시 성골만 가능했던 것일까? 성골인 선덕여왕과 진덕여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진골인 김춘추는 진평왕이 죽었을 당시에는 과연 왕위계승의 자격이 없었던 것일까?
MBC드라마 ‘선덕여왕’
오히려 진평왕은 귀족세력을 견제하고 왕실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서 폐위된 진지왕의 아들인 용춘을 적극적으로 등용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둘째딸 천명과 용춘을 결혼시켰다. 용춘과 천명부인의 아들이 바로 김춘추였다. 즉 김춘추는 할아버지가 진지왕이었고, 외할아버지가 진평왕이었으니 그야말로 최고의 혈통을 갖춘 셈이다. 가계 혈통만 본다면 김춘추는 진평왕이 죽은 후 첫 번째 남성 왕위계승권자가 되기에 모자람이 없다.
그런데 왜 기록에는 당시 남자 성골이 없다고 하였을까? 김춘추의 혈통이 어디가 어때서 성골이 될 수 없었을까? 이 점에서 아마도 성골이란 ‘진종(眞種)설화’로 대표되듯이 곧 진평왕의 직계에만 해당하는 신성한 가계(家系)의식으로 추정된다. 그것은 진평왕이 재위 내내 추진한 왕권 신성화의 최종 결과였다. 이렇듯 성골은 사실상 관념의 문제이고, 왕위계승은 현실 정치의 문제이다. 표방된 관념도 무시할 수는 없지만, 그 뒤에 숨어 있는 현실 정치를 읽어내지 못하면 선덕왕에서 김춘추의 즉위로 이어지는 정치적 격동을 제대로 파악하기 어렵다.
■ 똑똑한 여왕
여기서 ‘삼국사기’ 등에서 전해지는 선덕여왕의 또 다른 표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선덕여왕 하면 ‘지기삼사’(知幾三事)의 고사가 우선 떠오르게 된다. 즉, 여왕이 얼마나 지혜로운 인물인지를 보여주는 3가지 이야기이다. 워낙 유명한 이야기인지라 간단하게 언급하자면, 당에서 보내온 모란꽃 그림에 나비가 그려져 있지 않은 것을 보고 모란에 향기가 없음을 알아맞혔다는 이야기, 그리고 연못에 두꺼비가 모인 것을 보고 여근곡에 백제군이 매복해 있음을 알고 이를 격퇴하였다는 이야기, 그리고 죽을 때 도리천에 묻어달라고 유언하면서 낭산에 능을 쓰라고 하였는데, 후일 낭산 아래 사천왕사가 창건되면서 결국 선덕왕릉이 도리천에 위치하는 형국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바로 그것이다.
선덕여왕릉
사실 이런 이야기는 선덕여왕이 비록 여자이지만, 이렇게 현명한 인물이니 왕으로서 충분한 자격을 갖추고 있음을 특별히 강조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뒤집어 보면 여성인 덕만이 왕위에 오르는 것 자체가 당시로서도 비정상적이었다는 말이 된다.
따라서 여왕의 즉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현실 정치판도로 다시 눈을 돌려야겠다. 그 정치판도의 핵심은 역시 김춘추였을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김춘추는 그 혈통이나 왕실 내의 위치로 볼 때 유일한, 그리고 가장 유력한 남자 왕위계승권자였다. 그럼에도, 선덕여왕이 왕위에 올랐다는 것은, 김춘추가 왕위에 오르는 것에 반대하는 세력이 만만치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들이 곧 김춘추의 할아버지인 진지왕을 폐위시킨 세력과 연결될 수 있음은 쉬이 짐작된다. 가장 유력한 왕위계승권자이지만 아직 반대세력을 제압할 힘이 없는 김춘추, 그리고 김춘추의 왕위 계승을 반대하지만 그렇다고 뾰족한 다른 대안이 없는 반대 세력, 이 양자가 당장 충돌할 수 없는 상황에서 타협으로 선택한 것이 여왕의 즉위라고 보인다. 즉, 선덕여왕은 당시 정치판도에 의해 선택된 셈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렇지만, 선덕여왕이 누구인가? 앞서 세 고사에서 엿볼 수 있듯이 현명한 품성을 갖춘 인물이었다. 비록 왕위에 오를 때에는 선택당하는 입장이었지만, 일단 왕위에 오른 뒤에는 왕으로서 자신의 길을 독자적으로 걸어갔다.
따지고 보면 ‘지기삼사’라는 이야기도 여왕이라는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선덕여왕 자신의 기획일 가능성이 크다. 그는 자신의 권위를 상징화하고 이미지화할 능력이 있었던 것 같다. 선덕여왕은 불교를 적절하게 이용하였다. 유명한 황룡사 9층 탑도 선덕왕의 작품이다. 어쩌면 서라벌 도성을 압도하는 위용으로 서 있는 9층탑에 자신의 권위를 동시에 담고자 했을 것이다. ‘하늘의 뜻’, 즉 천문을 관측하는 첨성대를 세운 의도도 마찬가지로 해석된다.
물론 실제 권력의 힘도 알고 있었다. 그는 부왕인 진평왕 아래에서 왕이 되기 위한 수업도 충분히 받았다. 그래서 부왕과 마찬가지로 같은 왕실인 김춘추의 세력을 키워주면서 자신의 오른팔로 삼았다. 그리고 가야계 세력인 김유신의 여동생 문희와 김춘추의 결혼을 자신이 직접 승인함으로써 김춘추의 든든한 우익을 만들어 준 바 있다. 실제로 김춘추와 김유신은 덕만이 여왕으로 즉위하는 데 든든한 배경이 되었던 것이다.
■ 김춘추의 새로운 선택
하지만, 선덕여왕 재위기간 내내 여왕으로서의 정치적 한계는 여전하였다. 상징과 이미지를 통한 권위만으로는 현실 권력을 장악하기 어려웠다. 모든 권력은 현실 정치의 지향이 구체적일 때 힘을 얻기 마련이다. 반대세력들은 선덕 이후의 왕위를 노리고 있었다. 그런데 선덕여왕이 김춘추 등을 적극적으로 후원함으로써 세력 균형이 깨지고 있었다. 불안해진 반대 세력이 역전을 기도하였으니 상대등 비담(毗曇)의 반란이다. 여왕이 다스리기 때문에 나라가 혼란스럽다는 것이 명분이었다.
대신 김춘추는 선덕여왕과는 다른 방안을 준비하고 있었다. 그것은 ‘신성’ 관념이 아닌 현실 제도 시스템을 통한 왕권 강화였다. 즉, 새롭게 유교 정치이념을 내세워 지금까지와는 다른 정치운용을 시도한 것이다. 그의 이런 면모는 아들들에게 법민(法敏), 인문(仁問), 문왕(文王)이라는 유교적인 이름을 붙인 데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 그는 새로운 체제를 향한 개혁의 길이 곧 자신이 왕위에 오를 수 있는 가장 빠른 지름길임을 간파하였다. 권력은 힘으로만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현실 모순을 바로잡을 올바른 지향을 제시할 때 비로소 정당성이 뒷받침되는 것이다.
진덕여왕 2년에 김춘추는 당으로 건너가 신라의 숙원이었던 백제를 정벌하기 위한 나당군사동맹을 실현하였다. 이때 당태종은 김춘추의 늠름하고 잘생긴 풍모를 보고 감탄하였다고 한다. 당태종은 몇 년 전에 구원을 청하는 신라 사신에게 여왕이 다스리니 이웃나라가 얕보는 거라고 빈정거린 적이 있다. 그런 당태종이 김춘추를 보고 어떤 생각을 했을까? 아니 김춘추는 그런 당태종에게 자신이 신라의 왕다운 인물임을 은연중에 과시했던 것은 아닐까? 라는 상상도 해봄직하다.
귀국한 김춘추는 곧바로 중화(中華)정책을 시도한다. 관복을 당의 의관제로 바꾸고, 독자의 연호를 버리고 당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기타 여러 당의 제도를 받아들여 유교에 기반한 정치체제 운영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내정 개혁은 당의 신뢰를 얻는 데에도 기여하였겠지만, 무엇보다 신라사회의 기존체제를 근본적으로 재편하는 데 유용하였다.
그리고 그는 진덕여왕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그것도 덥석 왕위를 받은 것이 아니었다. ‘삼국사기’는 이렇게 전한다. “여러 신하가 김춘추를 받들어 왕으로 삼으려 하니, 춘추는 세 번 사양하다가 마지못하여 왕위에 올랐다.” 김춘추는 유교적 방식으로 새로운 왕자(王者)로서의 풍모를 과시하며 왕이 되기 위한 지난한 과정을 마무리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은 곧 신라 사회를 개혁하는 첫걸음이었던 셈이다. 그 결과 우리 역사 최초로 천하관과 안민(安民)의식, 관료제 등으로 정비되고 유교 통치 이념이 구현된 신라 중대(中代)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임기환 교수(서울교육대학교)
서울신문·푸른역사 아카데미 공동기획
2012-02-20 2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