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소크라테스 vs 플라톤 닮은듯 다른 대화법

소크라테스 vs 플라톤 닮은듯 다른 대화법

입력 2011-01-24 00:00
업데이트 2011-01-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플라톤의 작품은 ‘소크라테스의 변명’을 제외하면 모두 대화체의 형식으로 쓰여졌다. 플라톤이 이런 형식으로 글을 쓴 것은, 그가 ‘대화’를 철학의 방법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이것은 분명 소크라테스의 유산이다. 소크라테스는 만나는 사람들에게 질문을 던졌고 대답을 이끌어 진리의 길을 찾고자 했다.

●소크라테스-질문만 있고 결론은 없다

하지만 그 대화들은 어떤 결론에도 이르지 않고 끝나 버린다.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을 읽고 나면 황당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안부를 묻는 인사로 시작해 철학적 논의들을 벌인 후 별다른 결론도 없이 헤어지는 사람들. 소크라테스에게 대화의 의미는 그거면 충분했다. 그저 함께 이야기하고 그 속에서 삶에 대한 사유를 조금 더 진전시킬 수 있다면 말이다.

하지만 이런 식의 대화가 삶을 얼마나 진리로 이끌었는지는 의문스럽다. 소크라테스와 대화를 나눈 수많은 사람들 중 삶의 진리로 다가선 사람은 드물었다. 오히려 사람들은 질문을 해대는 그를 귀찮아했고 결국 그를 죽였다. 플라톤은 이런 모습을 보았다. 그에게 대화는 좌충우돌식의 수다 이상이 되어야 했다. 대화가 철학의 진정한 방법인 이유는, 그것이 우리의 영혼에 새로운 삶의 불꽃을 일으킬 수 있는 긴밀한 교제이기 때문이다.

●플라톤-대화를 통해 진리에 도달

플라톤에게는 어떤 진리도 우리 영혼을 움직일 수 없다면 무용지물이었다. 아니 우리 영혼을 움직이는 것, 그것이 진리였다. 만약 두 사람이 진정한 대화를 이루었다면, 서로의 영혼은 감화되어 그 진리의 길은 하나로 만나게 될 것이다.

플라톤의 중기 이후의 작품에서 우리는 이런 대화들을 만난다. 그곳의 대화는 세밀한 단계들을 거쳐 이루어지고 조심스럽게 결론에 도달한다. 우리는 결론에 주목하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그것이 아니다.

서로 다른 전제에 서 있는 사람들이 대화를 통해 서로의 영혼에 가 닿는 것. 그리고 그런 대화 속에서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삶의 양식을 찾아가는 것. 삶의 기술로서 철학, 철학의 기술로서 대화. 철학은 고독한 철학자의 사색 속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이 아닌, 대화의 향연이다. 우리는 플라톤의 대화로부터 이러한 철학을 배운다.

서울신문·수유+너머 공동기획
2011-01-24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