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물가안정에 역점 둬야” 37.6%

“물가안정에 역점 둬야” 37.6%

입력 2011-01-01 00:00
업데이트 2011-01-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제상황 평가와 전망은 지난해 8월 조사에 비해 부정적으로 변했다. 현재 국가경제상황에 대한 부정적 응답은 24.2%에서 30.7%로 6.5%포인트 늘었고, 올해 국가경제상황에 대한 부정적 전망도 13.3%에서 18.0%로 4.7%포인트 늘어났다. 이는 경기지표가 호전됐어도 일반 국민들은 이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이미지 확대
연령대별로 보면 1년 전에 비해 국가경제상황이 나빠졌다고 답한 비율은 40대(38.5%)에서 가장 높았다. 구직층과 사회 초년병들이 집중된 20대(32.5%)와 30대(35.1%)의 경기 평가도 부정적이었다.

이념성향과 지지정당에 따라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은 확연히 차이가 났다.

현재 국가경제상황 평가에서 보수층은 21.5%만 1년 전보다 나빠졌다고 응답한 반면 중도층은 32.3%, 진보층은 38.3%가 부정적인 응답을 내놨다. 한나라당을 지지하는 응답자의 경우 경제가 좋아졌다는 답이 36.3%로 나빠졌다는 응답(16.5%)보다 두배 이상 많았다. 그러나 민주당 지지자 가운데 경제가 좋아졌다는 응답자는 8.1%에 불과했고, 절반에 가까운 49.0%가 1년 전보다 경제가 나빠졌다고 했다. 올해 경제상황 전망에서도 한나라당 지지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1.0%는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했지만, 민주당 지지자 가운데 좋아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응답자는 18.1%뿐이었다.

가정경제 상황에 대한 조사 역시 4개월 전에 비해 부정적인 의견이 늘었다. 1년 전에 비해 현재의 가정경제상황이 어떻느냐는 질문에 나빠졌다는 응답이 29.0%로 8월 조사(24.8%)에 비해 4.2%포인트 늘었다. 별 차이가 없다는 응답(59.2%)까지 합하면 지금의 가정경제상황이 악화됐거나 제자리 수준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88.2%나 된다. 올해 가정경제에 대해서는 30.9%만 좋아질 것이라고 응답했고, 67.0%는 나빠지거나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부정적인 평가를 내놔 서민층일수록 가정경제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위기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1년 전에 비해 현재의 가정경제상황이 어떻게 변했느냐는 질문에 월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응답자는 36.2%, 300만원 미만 응답자는 35.9%가 나빠졌다고 답한 반면 500만원 미만과 500만원 이상 응답자 중에서는 각각 25.7%와 18.4%만이 나빠졌다고 했다. 내년 가정경제상황이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도 월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응답자층(23.4%)에서 가장 높았다.

가장 역점을 둬야 할 경제정책은 4개월만에 서민생활 안정(32.1%)에서 물가안정(37.6%)으로 바뀌었다. 이는 사회 전계층으로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됐다는 방증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물가안정에 가장 역점을 둬야 한다는 응답은 소득수준과 상관없이 높게 나왔다. 월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 응답자의 40.9%, 300만원 미만 응답자의 40.6%, 500만원 미만 응답자의 37.4%가 물가안정을 최우선과제로 택했다. 직업별로는 ‘장바구니 물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부층(49.0%)에서 물가안정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념성향별로는 보수층은 최우선 과제로 물가안정(42.1%)에, 진보층은 서민생활 안정(41.2%)에 방점을 찍어 차이를 보였다. 또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들은 물가안정(33.8%)보다는 서민생활 안정(37.7%)이 필요하다고 답해 간접적으로 이명박정부의 친서민정책에 회의적인 반응을 드러냈다.

일자리창출에 가장 역점을 둬야 한다는 응답은 전체의 17.9%였다. 특히 연령별로 20대(23.4%)와 60대 이상(25.5%)에서 일자리창출이 최우선이라는 응답이 많이 나왔다. 이는 젊은이들의 구직란과 은퇴 이후 고령층의 일자리가 부족하다는 현실을 보여준다.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지원이 최우선이라는 응답은 전체의 8.4%로 자영업에 종사하는 응답자(20.1%)의 비율이 높았다. 규제철폐가 우선이라는 응답은 전체의 3.7%로 역시 자영업층(6.5%)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이 나왔다.

유지혜기자 wisepen@seoul.co.kr
2011-01-01 4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