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고전 톡톡 다시읽기] <4> 노래의 책 ‘시경(詩經)’

[고전 톡톡 다시읽기] <4> 노래의 책 ‘시경(詩經)’

입력 2010-02-01 00:00
업데이트 2010-02-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발칙한 불량가요 通하였느냐?

‘시경(詩經)’은 지금으로부터 약 3000년 전, 그러니까 중국 주나라 때부터 춘추시대 때까지 황하강 유역의 사람들 사이에 구전되던 노래를 공자가 모아서 엮은 책이다. 원래 311편인데 이 중 6편은 제목만 전하고 내용은 전하지 않는다. 이렇게 시경의 시가 300편가량 되기 때문에 시경을 ‘시(詩)’ 혹은 ‘시삼백(詩三百)’이라고도 부른다. 시경은 쉽게 말해서 노래책이다. 여기에는 여자들이 불렀던 노래도 있고, 남자들이 불렀던 노래도 있고, 농부가 불렀던 노래도 있고, 전쟁터에 나간 병사가 불렀던 노래도 있다. 각양각층의 사람들이 불렀던 오래된 노래의 책이 바로 시경이다.

공자의 시경의 해설서 격으로 주희가 쓴 ‘시경집전(詩經集傳)’에 들어간 삽화들이다. 시경의 시편에 등장한 복식, 수레, 동식물 등은 당대 사람들에게도 생소했기에 용어 해설이 필요했다.

이미지 확대


●시경이 건전가요라고?

공자는 “시경의 시 삼백편을 한 마디로 표현하면 생각에 사악함이 없게 하는 것이다.(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曰 思無邪)”(논어, 위정)라고 하였다. 사무사(思無邪), 생각과 행동에 사악함이 없다는 뜻이다. 그런데 “시경은 사무사다.”라고 하니까, 흔히 ‘시경의 노래들은 도덕적이고 교훈적인 내용이다.’라고 생각한다. 즉, 요즘으로 치면 ‘건전가요’ 쯤으로 여긴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아(雅)’나 ‘송(頌)’은 임금의 덕을 칭송하고 후대의 자손들에게 올바른 덕을 권장하는 계몽적인 내용이므로 건전가요라고 할 수 있지만, 국풍(國風)의 시들은 내용이 별로 건전하지가 않다. 오히려 점잖지 못한 연애시들이 많다.

將仲子兮 無踰我里(장중자혜 무유아리) 청컨대 그대여 우리 마을로 넘어오지 마세요.

無折我樹杞(무절아수기) 내가 심은 버드나무 꺾지 마세요.

豈敢愛之 畏我父母(기감애지 외아부모) 어찌 그것이 아깝겠어요. 부모님이 두렵답니다.

仲可懷也 父母之言(중가회야 부모지언) 그대가 보고 싶지만 부모님의 말씀도

亦可畏也(역가외야) 두렵답니다.

정풍(鄭風)에 나오는 ‘장중자(將仲子)’라는 시다. 이 시에서 아가씨는 연인을 기다린다. 그러나 아가씨를 좋아하는 도령은 아가씨의 마을에 살지 않는다. 도령이 아가씨를 만나려면 담장을 넘어야 한다. 이것은 설레면서도 두려운 일이다. 도령과 만나고 싶다. 하지만 부모님이 혼내실까 두렵다. 이 두 가지 마음 사이에서 갈등하는 아가씨는 그래서 이렇게 노래한다. ‘도령님, 도령님, 보고 싶은 도령님, 우리 집 담장을 넘어오면 안 돼요, 돼요, 돼요….’ 아니, 이건 도대체, 도령보고 담장을 넘어오라는 것인가. 넘어오지 말라는 것인가.

●노골적 추파 담긴 연애詩도

관관저구 재하지주(關關雎鳩, 在河之洲)…. ‘요조숙녀(窈窕淑女)’와 ‘전전반측(輾轉反側)’이라는 말이 나와서 유명한 ‘관저(關雎)’는 “어디로 갔을까 나의 반쪽은?”이라면서 짝을 구하는 노래이다. 강가 모래섬에 저구새가 광광 소리내어 짝을 부르는 것과 같이 군자가 자기에게 어울릴 요조숙녀를 찾는 노래이다. 뿐인가. ‘표유매(?有梅)’에서는 혼기를 맞은 여자가 배우자에게 빨리 와서 자기를 데려가라고 아예 노골적으로 추파를 던진다.

‘매실이 떨어집니다. 열매 일곱 개 남았네요./ 날 데려 갈 그대는 좋은 날에 오기를!/ 매실이 떨어지네요. 열매 세 개 남았네요./ 날 데려 갈 그대는 지금 오기를!/ 매실이 다 떨어졌네요. 광주리에 주워 담습니다./ 날 데려갈 그대는 말이라도 건넵시다!’

‘도요(桃夭)는 복숭아꽃이 만발한 날, 시집가는 아가씨를 축복하는 시다. 인생에서 가장 환할 때는 언제일까. 아마 여자에게는 시집가는 날일 것이다. 이제 비로소 어른이 되고, 새로운 공동체의 당당한 주인이 되는 때. 나무로 치자면 봄에 꽃이 활짝 피는 때이다. 이런 봄날의 풍경을 시집가는 아가씨의 모습과 함께 표현했다.

연인들 사이 선물을 주고받는 시로 ‘모과(木瓜)’가 있다. ‘그녀가 나에게 모과를 주었네./ 나는 그녀에게 옥돌을 주었네./ 보답을 하려는 게 아니라/ 그녀랑 친해지고 싶어서.’ 옛날 사람들은 좋아하는 이에게 모과를 주었나 보다. 이런 정표를 받은 남자가 가만 있을 수 있나. 옥돌을 준다. 모과를 받았는데 옥돌을 주다니. 손해 보는 거 아니냐고? 그러나 선물은 장사와 다르지. 그녀가 나를 좋아하는 순수한 마음, 내가 그녀를 좋아하는 순수한 마음으로 치자면 모과나 옥돌이나 소중하기는 똑같다.

시경에는 연애시와 함께 근심이 가득한 노래가 많다. 시경에서 휘파람은 즐거운 때 부는 흥겨운 가락이 아니라 근심을 푸는 한숨소리이다. 전쟁 때문에 남편과 헤어진 여인의 슬픔을 노래한 시 ‘중곡유퇴(中谷有?)’, 행역 나갔다 돌아와 보니 나라가 망해서 기장과 피만 수북이 자라는 황폐한 옛터를 맥없이 비틀거리며 걷는 시 ‘서리(黍離)’, 가난 때문에 가족들이 뿔뿔이 흩어져 살아야 하는 유랑민의 비애를 노래한 시 ‘갈류(葛?)’, 정복전쟁에 끌려간 병사가 사랑하는 아내가 있는 고향의 집으로 ‘나 돌아갈래’ 외치는 시 ‘동산(東山)’도 있다.

●왜 思無邪인가:즐겁되 지나치지 않고 슬프되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

노래가 사람의 마음을 순화하고 풍속을 교화한다는 유가의 본래 취지에 따르자면 시경의 연애시들, 근심이 가득한 노래들은 별로 권장할 만한 노래들이 못 된다. 그건 사무사(思無邪)가 아니라, 오히려 사(邪)에 해당하는 것 같다. 그런데 공자는 왜 이런 노래들을 사무사라고 했을까. 공자는 ‘관저’를 두고 이렇게 평했다. “즐겁되 지나치지 않고 슬프되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는다.”(而不淫 哀而不傷)

시경의 시들은 즐거움이나 슬픔 같은 인간의 솔직한 감정이 표현되었지만 그것이 거짓되거나 과장되지 않아 억눌린 마음을 풀어주고 다른 이에게 감동을 준다는 뜻이다. 즉 시경의 시들은 지극히 사사로운 감정을 노래한 것이지만 그것이 자기 자신에게만 머물지 않고 다른 이들과 감응하고 소통한다는 점에서 사(邪)가 아니라 사무사인 것이다.

시경은 건전가요가 아니다. 뜻은 너무 좋지만 아무도 부르지 않는 노래가 아닌 시경은 오히려 발칙한 불량가요에 가깝다. 그러나 삼천년 전의 노래가 아직도 우리의 심금을 울린다는 것! 공자가 말한 사무사는 시경의 바로 이러한 감응(感應)과 소통(疏通)의 능력을 가리키는 말이 아닐까. 시경의 진솔한 노래들은 지치고 왜소해진 우리들의 마음에 생기를 불어넣어준다. 기쁜 마음은 정말 기쁘게, 슬픈 마음은 정말 슬프게, 화가 나는 마음은 정말 분통이 터지게…. 어떤 마음이든 깊이 헤아리고 편안하게 풀어주는 노래의 힘! 이것이 바로 불량가요 시경의 힘이다.

수유+너머 구로 연구원 정경미

2010-02-01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