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포장의 기술/손원천 문화부 부장급

[데스크 시각]포장의 기술/손원천 문화부 부장급

입력 2010-01-20 00:00
업데이트 2010-01-20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얼마 전 이참 한국관광공사 사장과 인터뷰할 기회가 있었다. 여러가지 대화 내용 중 특히 기억에 남는 것은 국내 관광지들에 대한 스토리텔링 대목이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우리 문화와 관광지에 대한 스토리텔링이 너무 부족하다는 것이 이 사장의 생각이다.

이미지 확대
손원천 문화부 부장급
손원천 문화부 부장급
그가 설명을 돕기 위해 예로 든 것은 독일의 로렐라이 언덕과 덴마크의 인어상이었다. 실제 가보면 볼품 없는 언덕, 조그만 조각상에 불과하다는 것. 틀린 말도 아니다. 그 정도 풍광을 가진 언덕, 그정도 조각상이라면 국내에도 강원도 영월의 동강이나 전남 섬진강, 어지간한 섬마을 등에 널려 있다. 실제 여행을 즐겨하는 이들은 이를 벨기에의 오줌싸개 동상과 합쳐 ‘유럽의 3대 썰렁 명소’라며 조롱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의 많은 관광객들이 여전히 그곳을 즐겨 찾는다. 여러 까닭이 있을 터다. 다만 아름다운 풍경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만은 분명하다. 이 사장은 주변에 얽힌 이야기들, 즉 관광지를 살아 숨쉬는 생명체로 만드는 스토리텔링이 많은 관광객들을 끌어모으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분석했다.

경복궁도 도마에 올렸다. 오래 전, 이 사장이 방한한 독일의 최고위 공직자를 경복궁으로 안내한 적이 있었는데, 일본 무사에게 비극적인 죽음을 당한 비운의 명성황후 등 왕과 왕족들의 가족사, 그리고 신하들과의 갈등 관계 등에 대단한 관심을 보이더라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강대국들의 틈바구니에 끼인 반도 국가의 궁궐에 얼마나 많은 영욕의 역사가 담겨져 있겠는가. 소설보다 구성이 탁월하고 드라마보다 극적인 요소들로 가득찬 경복궁을 제대로 포장해 세계에 알리려는 노력이 부족하지 않았는지 되짚어 봐야 할 때라는 얘기다.

결국 우리 역사와 문화를 대단하게 보이도록 포장하는 것, 관광지를 더욱 돋보이게 하는 기술이 우리에게 부족했다는 것이 이 사장이 지적한 내용의 핵심이다.

반대로 잘 포장하는 것 못지않게 포장하지 말아야 할 것은 그대로 놔두는 기교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경남 거제 갈곶리에 ‘바람의 언덕’이란 곳이 있다. 작지만 풍광만큼은 너른 곳이어서 여행자들이 즐겨 찾는다. 기껏해야 어린이 놀이터 정도 크기의 협소한 공간에 의자가 생기더니, 목재 데크가 등장하고, 최근엔 풍차까지 세워졌다. 바람의 언덕이라서 풍차를 세워놓은 건가. 이름에 걸맞은 풍경을 위해서라면 잠시 쉬어갈 의자 하나만 있어도 충분하지 않겠는가. 안전상의 이유라면 목재 데크도 이해가 된다. 그런데 난데없이 풍차라니. 생경하고 생뚱맞다.

대부분의 관광객들은 갈곶리 뒷산의 동백나무숲을 지나 바람의 언덕으로 향한다. 대낮에도 어두울 만큼 굵은 동백나무들로 가득찬 숲을 지나면 곧바로 남해의 시원스러운 풍광이 펼쳐져야 한다. 그걸 막고 있는 게 바로 풍차다.

이런 경우도 있다. 두 해 전 전북 고창 선운사에서 열린 꽃무릇 축제를 보러 간 적이 있다. 선운사는 진작부터 꽃무릇 군락지로 유명한 곳. 해마다 꽃무릇이 만개할 때면 축제가 열린다. 문제는 여기서 생겼다. 주최 측에서 선운사로 가는 포장도로 곳곳에 꽃무릇을 식재해 놓은 것이었다. 필경 관광객들의 ‘눈수발’을 들라는 취지일 터다.

하지만 꽤 까다롭기로 유명한 이 꽃은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는 은밀한 환경에서 피어 있어야 옳다. 노류장화처럼 아무곳에나 피어 있는 모습을 접하고 나니 선운사 경내 꽃무릇 군락지의 신비로움마저 퇴색해 버리고 말았다. 과유불급의 전형적인 경우다.

단지 예를 든 것일 뿐, 두 지역만의 문제는 아니다. 국내 여행객들의 의식은 꾸며진 관광지를 별 생각 없이 둘러보고 가는 수준을 뛰어 넘은 지 오래다. 조악하게 포장된 곳을 한 번은 찾을지 몰라도, 두 번은 찾지 않는다. 잘 포장하는 기술, 그리고 특별히 포장하지 않고도 돋보이게 하는 기술 모두 외래 관광객 1000만명 시대를 목표로 삼은 우리가 반드시 갖춰야 할 덕목이다.

angler@seoul.co.kr
2010-01-20 30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