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점프 코리아 2010-G20시대를 열다] 다문화가정의 새해 소망

[점프 코리아 2010-G20시대를 열다] 다문화가정의 새해 소망

입력 2010-01-01 00:00
업데이트 2010-01-0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은 母國처럼 소중 올핸 일자리 생겼으면…”

다문화가정이 16만가구를 넘어섰다. 4인가구 기준으로 60만명 이상이 다문화 가정에 속한 셈이다. 한국도 글로벌화 됐음을 의미한다. 우리 사회에 스며든 그들을 보듬어 안아야 하지만 아직 배타적인 눈길은 바뀌질 않고 있다. 이들은 우리 문화의 포용성과 다양성, 그리고 글로벌 세계의 새로운 희망을 찾는 마중물이 된다. 2010년 경인(庚寅)년 호랑이해를 맞아 그들이 바라는 희망사항을 들어봤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12월12일 서울 경희대 정문 앞 청운관. 외국인 노동자와 다문화가정 등 우리 사회의 소외된 이들을 지원하는 나눔공동체인 푸른시민연대 회원들의 연극연습이 한창이었다. 중국 출신의 변국화(29·서울 정릉동), 일본에서 온 암도유미(40·서울 전농동), 베트남 출신인 보티란봉(29·서울 미아동)과 응웬티창(25·서울 미아동) 등 4명의 주부가 푸른시민연대 후원행사를 위해 연극행사를 찾았다.

길게는 8년, 짧게는 1년 남짓 한국 생활을 경험한 이들은 “한국은 모국과 같이 소중한 나라.”라면서 유창한 한국말로 소회를 밝혔다. 이들은 “한국의 예의범절을 처음 대했을 때는 너무 어색했지만 시부모나 남편이 시키는 대로 묵묵히 실천하면서 배워나갔다.”며 “쉽지 않은 한국생활이었다.”고 말했다.

다문화가정 주부들이 시급히 원하는 것은 일자리다. 새해 희망사항으로 이들은 모두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학업을 계속할 수 있는 방법이나 일자리 정보를 제공해 주길 원했다. 모국에서는 고급인력이었지만 우리나라에 오고 난 뒤에는 자신의 장기를 활용하지 못해 답답하다는 반응이 많았다.

응웬티창씨는 “한국에서 대학에 진학해 선생님이 되는 게 꿈”이라면서도 “어떻게 공부를 해야 하고 일자리는 어떻게 가질 수 있는지 알 수 없어 막막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암도유미씨도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지만 일본어 과외교사를 하고 싶다.”면서 “원하는 일자리가 생기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을 것 같다.”고 털어놨다. 베트남의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한 보띠란봉씨는 “앞으로 베트남 사람에게 한글을 가르쳐 주는 통역사가 되는 것이 꿈인 데 아직 한 발짝도 떼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보육 정보도 잘 몰라서 지나치는 사례가 많다고 한결같이 말했다. 변국화씨는 “애가 4살, 6살이어서 병원이나 유치원에 갈 일이 많지만 어떻게 지원을 받아야 하는지 잘 모른다.”면서 “동사무소나 구청이 다문화가정에 보육과 관련된 사항을 자세히 알려줘 아이들을 잘 키웠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그들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은 아직 ‘외국인’에 멈춰져 있다. 변국화씨는 “우리 동포끼리 있을 때는 중국말을 많이 하는데 한국 아주머니들이 째려볼 때가 많다.”면서 “올해에는 우리 모두 친구처럼 같이 놀고 같이 일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기면 행복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응웬티창씨는 “길을 잘 몰라서 어색하게 한국어로 물어보면 이상한 눈빛으로 쳐다보는 사람이 많다.”며 “이제 한국도 다문화가정이 많이 늘었는데 왜 그런 눈빛으로 쳐다보는지 모르겠다.”고 말을 보탰다.

언론에 할 말도 많다고 했다. 변국화씨는 “올해에는 좋은 일만 신문에 나왔으면 좋겠다.”고 희망을 쏘아 올렸다. 응웬티창씨는 “푸른시민연대처럼 우리를 따뜻하게 돕는 단체의 이야기가 신문에 많이 실렸으면 한다.”고 말했다. 그들의 목소리는 작았지만 우리가 잘 들여다보지 못한 곳을 훨씬 더 세심하게 바라본 듯했다. 새해 각자의 희망을 위해 그들은 한목소리로 외쳤다. “2010년 다문화가정 화이팅! 서울신문도 화이팅!”

글 사진 정현용기자 junghy77@seoul.co.kr

2010-01-01 3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