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별 근로관 분석해보니… 미국 “자아 실현” 한국 “생계 유지”

국가별 근로관 분석해보니… 미국 “자아 실현” 한국 “생계 유지”

안미현 기자
입력 2008-06-05 00:00
수정 2008-06-0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왜 일을 하느냐.”고 물었다. 미국인은 “자아를 실현할 수 있어서”, 프랑스인은 “일이 재미있어서”, 일본인은 “사람들과 어울리는 게 좋아서”라고 대답했다. 그렇다면 한국인은? 답은 “먹고살기 위해서”였다.

이미지 확대


개인 차이는 있겠지만 삼성경제연구소가 4일 국가별 근로관을 분석한 결과다.31개국 20∼69세 근로자들을 설문 조사했다.

엘리트주의와 개인주의가 강한 프랑스는 일에 대한 흥미는 무척 큰 반면 상사와 직장에 대한 충성심은 낮았다.‘보람 중시형’이다. 스웨덴, 핀란드 등도 여기에 속한다. 일본은 정반대로 ‘관계 지향형’이다. 팀워크를 중시하는 조직문화 영향으로 일의 독자성은 낮았다. 대신 종신고용제 등으로 직장 충성심은 매우 높았다.

일에 대한 만족감도 크고 직장 자부심도 높은 ‘자아실현형’은 미국, 영국, 호주 등 주로 영미권에서 나타났다. 반면 우리나라는 일의 흥미, 보람, 자부심, 인간관계 그 어느 것 하나 높지 않았다. 전형적인 ‘생계수단형’이다. 보람은커녕 일하면서 오히려 점점 피폐해져 간다고 느낀다.

최숙희 수석연구원은 “우리나라처럼 삶에서 일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사회일수록 이같은 부정적 근로관이 강하다.”며 “적성보다 연봉이나 평판을 우선시하는 직업선택 경향과 외환위기로 무너져내린 평생직장 개념도 한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임직원의 자기계발과 여가활동 지원에 기업이 적극 눈돌려야 하는 이유다.

안미현기자 hyun@seoul.co.kr
2008-06-0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
1. 10만원
2. 5만원
3. 3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