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조사결과의 가장 큰 특징은 부동층 규모가 증가하고 후보들 지지도는 지난달 조사보다 하락했다는 점이다. 특히 8%포인트 남짓 떨어진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낙폭이 가장 컸다.
주목되는 점은 이 후보의 지지도 하락이 다른 후보의 지지도 상승으로 이어지지는 않고 있다는 것. 이탈층의 다수가 부동층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얘기다.
●이명박, 대구·경북에서 큰폭 하락
이명박 후보는 서울 36.4%를 비롯,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에서 각각 37.9%와 30.7%의 지지도를 기록했다. 그동안 10% 안팎의 지지율을 보였던 호남에서는 1.3%의 지지를 얻는 데 그쳤다.
이 후보가 서울과 영남에서 얻은 지지율은 전국 평균 지지율(28.8%)에 비해 높은 수준이지만 지난달 17일 조사보다는 10%포인트 이상 하락한 수치다. 특히 대구·경북에서 15%포인트가 빠졌다.
반면 이 지역에서 무소속 이회창 후보는 24.3%의 지지를 얻어 지난달 조사보다 5%포인트 남짓 상승했다.
이명박 후보 이탈층의 일부를 흡수한 것으로 보인다.
이회창 후보는 부산·울산·경남(20.4%), 대전·충청(20.2%)에서도 평균 지지도를 웃도는 강세를 보였다. 서울에서의 지지도는 13.3%를 기록해 지난달(14.0%)보다 소폭 하락했다.
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는 거점인 호남(43%)에서 압도적 우위를 이어갔지만, 이마저도 지난달보다 5.5%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대전·충청(14.3%)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는 한 자릿수 지지율의 덫을 벗어나지 못했다.
●연령·이념 변수, 판세 영향 미미
지역을 제외한 연령·이념 변수의 영향력은 두드러지지 않았다. 이명박 후보는 20대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율(34.8%)을 기록하고 있으며,50대 이상 고연령층 지지율(29.8%)은 지난달 조사에 비해 11.8%포인트 하락했다.
이회창 후보의 경우도 40∼50대보다 30대 유권자층에서 가장 높은 지지율(22.1%)을 기록,‘노년층 선호후보’라는 세간의 평가를 무색케 했다. 정동영 후보는 연령에 따른 지지율 차이가 거의 없었다.
유권자의 이념적 성향은 아직까지 후보 선택에 있어 큰 변수가 되지 못하고 있다. 이명박 후보의 경우 보수 유권자뿐 아니라 진보(29.6%), 중도(26.0%) 유권자들로부터 고른 지지도를 기록했다.
이회창·정동영 후보는 각각 보수와 진보 유권자들로부터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를 얻었다.
●‘후보 지지’ 추가질문 안 던져
이번 조사에서 주목되는 대목은 이명박 후보의 지지율이 한나라당 후보 선출 이후 처음으로 30%선 아래로 떨어졌다는 점이다.
이같은 결과는 지지후보를 묻는 질문을 한 차례만 던진 이번 조사의 특징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10월 27∼28일 서울신문과 KSDC의 정기여론조사에서는 1차 무응답층을 상대로 지지후보를 재차 물었으나 2주 전인 11월17일 실시한 긴급여론조사에서는 이번 조사처럼 지지후보 질문을 한 차례만 던졌다.
이는 여론조사 기법상 2차 질문을 던질 경우 부동층을 줄이는 장점은 있으나 여론 변화의 뚜렷한 경향성을 포착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 다른 기관의 여론조사에서도 지지후보를 한 차례만 물을 경우 이명박 후보 지지율이 30%대 초반에 머물러 서울신문·KSDC 조사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남영 김영태교수·정리 이세영기자 sylee@seoul.co.kr
서울Eye : 포토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