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林 속 한자이야기] (72) 昊天罔極(호천망극)

[儒林 속 한자이야기] (72) 昊天罔極(호천망극)

입력 2005-05-21 00:00
업데이트 2005-05-21 1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儒林 (339)회에는 ‘昊天罔極’(하늘 호/하늘 천/없을 망/다할 극)이 나오는데, 이것은 詩經(시경)에 나오는 말로 ‘어버이의 은혜가 넓고 큰 하늘과 같이 다함이 없음’을 뜻한다.

‘昊’는 본디 해가 한창 빛을 발하고 있는 하늘을 뜻하였다.用例(용례)로는 ‘昊天(호천:하느님, 하늘),昊昊(호호:무성한 모양),蒼昊(창호:맑고 푸른 하늘)’ 등이 있다.

‘天’은 갑골문 등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머리 부분을 크게 그린 사람의 상형이다.‘머리 꼭대기’‘우두머리’라는 본래의 뜻과 假借(가차)된 뜻인 ‘하늘’‘하느님’이 같이 쓰이더니 점차 假借의 의미로 널리 쓰이게 되었다.用例에는 ‘天經地緯(천경지위:하늘이 정하고 땅이 받드는 길이라는 뜻으로,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나 법칙을 이르는 말),天機(천기:하늘의 기밀 또는 조화의 신비),不俱戴天(불구대천:이 세상에서 같이 살 수 없을 만큼 큰 원한을 가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등이 있다.

‘罔’자는 ‘그물’이 본래 의미인데,音符인 亡의 뜻을 대신하여 ‘없다’는 뜻으로도 쓰이자 본래의 뜻을 보존하기 위해 새로 만든 글자가 ‘網’이다.用例에는 ‘罔極之痛(망극지통:한이 없는 슬픔. 보통 임금이나 어버이의 喪事를 뜻함),罔赦之罪(망사지죄:용서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죄),罔知所措(망지소조:너무 당황하거나 급하여 어찌할 줄을 모르고 갈팡질팡함)’ 등이 있다.

‘極’자는 ‘대들보’를 뜻한다. 대들보는 가장 높은 곳에 있다는 점에 着眼(착안)하여 ‘가장, 지극히, 다하다’ 등의 뜻이 파생되기도 하였다.用例에는 ‘極端(극단:맨 끝),極秘(극비:절대적인 비밀),極致(극치:극단에 이른 경지),窮極(궁극:어떤 과정의 마지막이나 끝)’ 등이 있다.

부모는 자녀를 養育(양육)함에 온갖 犧牲(희생)을 堪耐(감내)하면서도 오히려 그것을 삶의 喜悅(희열)로 받아들인다.孟子(맹자)가 “이 세상에 자식에게 최선을 다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 라고 한 緣由(연유)도 여기에 있다. 자식 사랑이 오죽하면 “호랑이도 제 새끼는 잡아먹지 않는다.”라든지 “도둑도 자기 자식에게는 도둑질을 가르치지 않는다.”는 말이 나왔을까?

孟子는 불효의 類型(유형)을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사지가 게을러 부모를 봉양하지 않고(惰其四肢 不顧父母之養:타기사지 불고부모지양), 둘째 장기 두고 바둑 두며 술 마시기를 좋아하여 부모를 봉양하지 않으며(博奕好飮酒 不顧父母之養:박혁호음주 불고부모지양), 셋째 재물을 좋아하고 처자만을 좋아하며 부모를 봉양하지 않고(好貨財 私妻子 不顧父母之養:호화재 사처자 불고부모지양), 넷째 귀와 눈의 욕구를 만족시키려고 부모를 욕되게 하며(從耳目之欲 以爲父母戮:종이목지욕 이위부모륙), 다섯째 나서기 좋아하여 잘 다투고 사나워서 부모를 위태롭게 하는 것이다(好勇鬪 以危父母:호용투한 이위부모). 이 가운데 나는 오늘 또 다시 몇 가지의 불효를 반복했는지 되짚어 볼일이다.

나를 낳으시고 길러주신 어버이 恩惠(은혜)는 그 어떤 것으로도 대신할 수 없다.詩經(시경)에서는 이를 두고 ‘生鞠之恩’(생국지은)이라고 표현한뒤 이렇게 끝을 맺고 있다.“그 은혜 보답하고자 하나, 넓은 하늘과 같아 다할 길이 없네.”(欲報之德 昊天罔極)

김석제 경기 군포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
2005-05-21 2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