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매일 신춘문예/ 당선소감. 심사평

대한매일 신춘문예/ 당선소감. 심사평

오생근, 권성우, 김문주 기자
입력 2001-01-08 00:00
업데이트 2001-01-0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문주씨 당선소감.

나는 얼마나 절실한가.삶과 문학에 대한 열정이 내게는 얼마나 있었던가.대학 교정에서 당선 소식을 접하고,현실을 몹쓸 시대로 치부하는 내 못된 버릇에 대해 생각했다.나는 얼마나 현실적이던가./ 고마운 사람들.당선 소감으로 베풀 수 있는 이 빚잔치에 마땅히 불러야할 사람이 많다.성우,남일,재원,도현 … 모두 고맙다./ 내게 삶의 쓸쓸함과 인간에 대한 애정을 동시에 가르쳐주셨던 아버지와 어머니,이소식이 두 분의 고된 삶에 작은 위로와 기쁨이 될 수 있다면 더없이좋겠다. 부족한 내게 늘 변함없는 믿음을 보내주신 최동호 선생님과,길을 열어주신 오생근·권성우 두 분 심사위원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 내게 생명을 부여하신 이를 묵상하는 마음으로 역사와 현실을 고민하고,부단히 나를 돌아보며 문학의 길을 가겠다.조용한 위안이 되어준 사랑하는 아내 현정과 훗날 이 글을 읽을 시은이에게,그리고 기도로 지원해 준 군산 식구들에게 한없는 고마움을 전한다./ 한동안 쓸쓸할 다른 응모자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전한다.

*약력.

■1969년 서울 출생.

■보성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 대학원 수료.

*대한매일 신춘문예 문학평론 당선작 '최하림론' 심사평.

문학평론 부문의 응모작들을 읽어 내려가면서 심사위원들은 이제 대한매일의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이 뛰어난 비평가들을 배출하는 소중한 산실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는 사실을 유쾌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상당수의 응모작들은 기존의 주요 문예지에 수록되는 기성 평론가의 비평문과 비교하여 손색이 없었다.때로 특정한 이론이 필요하지않은 대목에서도 현학적인 문학이론을 거칠게 적용시키는 비평문들이몇 편 있었지만, 상당수의 평문들은 젊은 비평이 응당 갖추어야할 작품과의 성실한 대화를 각기 다양한 방식으로 수행하고 있었다.그러니,심사의 과정은 행복하면서도 고통스러운 비교의 과정일 수밖에 없었다.

당선작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최종 고려의 대상으로 남은 평문은 다음의 네 편이었다.허병민씨의 ‘자아에 갇혀 있는 자유의 미학: 김수영론’,임진문씨의 ‘반성적 사유와 상호주관적 시 읽기: 김현론’,김정원씨의 ‘오렌지와 칼의 우연한 만남: 이상(李箱)의〈동해(童骸)〉 재해석’,김문주씨의 ‘역사와 개인이 만나는 시의 자리: 최하림론’.우선 허병민씨의 김수영론은 연애와 성을 키워드로 하여 김수영시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의욕적인 비판을 보여주었다. 그렇지만 다소 불안한 문장력과 논문 투의 형식이 내내 마음에 걸렸다.비평의 형식에 대한 섬세한 이해가 동반된다면,허병민씨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할 것이다.임진문씨의 평문은 고 김현의 시 비평을 차분하고 온당하게 이해하려는 균형감각이 돋보이는 글이었다.그러나,기존에 이루어진 김현에 관한 논의에서 한 발 더 나아가야 하지 않았을까? 김정원씨의 평문은 식민지시대의 대표적 소설가인 이상의 난해한 텍스트인‘동해’에 대한 치밀한 독해를 보여주었다.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있는 작품에 대한 정밀한 해석과 분석을 통해 새로운 의미망을 구축해나가는 씨의 비평적 저력이 높이 평가되었지만,학술논문에 가까운 평문이라는 점이 아쉬운 결격사항이었다.심사위원들이 숙고 끝에 당선작으로결정한 김문주씨의 평문은 무엇보다도 한 편의 평론이 지녀야할 비평적 완결성,문장력,해석의 타당성 등등의 면에서 고루 높은 평가를 받았다.다만,지나치게 모범적이며 상식적인 해석이 평자의 개성과 새로운 관점의 확보에 장애물로도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기 바란다.김문주씨의 정진을 바라며,아울러 아쉽게 당선작으로 선정되지 못한 응모자들에게도 조만간 또 다른 좋은 기회가 생길 수 있기를 진심으로 고대한다.

오생근 권성우
2001-01-08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