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 세대가 된 88만원 세대… ‘세습 자본주의’를 꼬집다

영끌 세대가 된 88만원 세대… ‘세습 자본주의’를 꼬집다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3-03-31 01:24
업데이트 2023-03-31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습 자본주의 세대 /고재석 지음/인물과사상사/348쪽/1만 9000원

이미지 확대
‘영끌 세대’, ‘빚투 세대’ 등으로 불리는 1980년대생의 시각에서 세태를 진단한 사회비평서다. 자신들을 결혼 시장과 부동산 시장의 패배자로 몰아넣고, 이른바 ‘계층 이동의 사다리’마저 치워 버린 한국 자본주의의 민낯을 까발린다. 저자를 포함한 1980년대생들이 민생과 기회(공정)의 문제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이유에 대해서도 항변한다.

저자는 1980년대생을 “여러 겹의 얼굴을 가진 세대”라고 표현한다. 진보 담론에 대한 거부감은 적지만, 거대 서사에는 반감을 가졌다. 정치적으로는 민주당과 정의당 지지 성향이 강했다. 환경, 인권, 소수자 등에 관심이 많았다. 그러나 저자는 이들이 지난 대선에서 등을 돌렸다고 본다. 당시 집권층에 대한 반감이 누적됐기 때문이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직격탄을 맞고, 집값 급등 탓에 결혼까지 포기한 ‘삼미남’(30대 미혼 남성)이 속출했다.

저자는 1980년대생을 “노동 시장의 출발선부터 보편적 고용 형태의 하나로 비정규직을 경험한 첫 번째 세대”라고 규정한다. 2007년 ‘비정규직보호법’이 시행됐지만 2년마다 해고가 잇따랐다. 1980년대생이 사회에 진출할 무렵에는 비정규직 규모가 급증했다. 2003년 462만명에서 지난해 815만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

이들은 ‘등록금 1000만원’ 시대에 대학에 다녔다. 등록금 인상률이 물가상승률을 압도했고, 교육 양극화가 심화해 각자도생해야 했다. 하지만 사회에 첫발을 잘못 디디면 금세 나락으로 떨어졌다.

저자는 “세습이 아니고선 ‘내 집 마련’이 불가능한 세습 자본주의의 막이 올랐다”고 현시대를 진단한다. 한국에서 ‘주거 사다리’는 곧 ‘자산 증식의 사다리’다. 한 세대 전만 해도 이 사다리를 탈 기회가 비교적 많은 사람에게 주어졌다. 하지만 이제 노동으로 모은 종잣돈만으론 계층 이동에 성공할 수 없다. 저자는 “‘더 고생하면 좋은 집에 살 것’이라는 한국 자본주의의 서사는 산산조각 났다”고 지적했다.

손원천 선임기자
2023-03-31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