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저자와 차 한 잔] ‘한국의 주택… ’ 임창복 교수

[저자와 차 한 잔] ‘한국의 주택… ’ 임창복 교수

입력 2011-08-20 00:00
업데이트 2011-08-2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건축은 인간생활 담는 그릇”

“주거건축은 인간의 생활을 담는 그릇입니다.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로 의식주가 언급되듯이 주택은 인간을 위한 피난처, 즉 셸터(Shelter)로서 어떤 형태로든 태곳적부터 존재해 왔지요. 사회가 진화하면서 인간의 생활욕구도 변해 왔고 이는 다시 그릇이 되는 공간에 영향을 주었지요.”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 단독주택의 유형과 변천사를 처음으로 정리한 임창복 교수. 사람을 담는 그릇으로서의 집을 강조한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우리나라 단독주택의 유형과 변천사를 처음으로 정리한 임창복 교수. 사람을 담는 그릇으로서의 집을 강조한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임창복(65) 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는 신간 ‘한국의 주택, 그 유형과 변천사’를 통해 이러한 주택의 변천과정에서 나타나는 유형의 변화에 주목했다.

오랫동안 주거의 공간과 이것의 변화로 인한 문화 현상을 연구해 온 저자는 제목에서 보듯 1876년 개항 이래 2000년까지 약 120년 동안의 우리나라 단독주택 변천사를 토대로 그것에 담긴 문화적 의미까지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어 눈길을 끈다.

그는 이 책을 세상에 내놓기까지 오랜 세월이 걸렸다고 했다. 1970년대 중반 대학원을 졸업하고 전문 분야에서 활동한 세월 대부분을 주택에 관심을 갖고 있었으니 35년 가까이 걸린 셈이라며 웃는다.

20여년 전부터 틈틈이 서울 종로구 옥인동 등 여러 유형의 단독주택에 찾아가 일일이 사진을 찍고 도면을 그려 보기도 했다.

이런 발품을 모아 이번에 책을 내게 된 것. 상류층 주택과 표준 주택, 그리고 일반 서민들의 주택 등 단독주택의 유형과 변천사를 쓴 것은 임 교수가 처음이자 유일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우리 주거문화에 대해 언제부터 관심을 가졌을까.

“캐나다 토론토 대학원에 유학을 할 때였습니다. 첫 학기에 ‘주택 및 주거지 패턴’이란 강좌를 수강하게 됐지요. 과목의 발표주제를 정하지 못하고 고민할 때 담당 교수가 한국의 주택은 세계 어느 곳에서도 볼 수 없는 마루와 온돌이 있는 독특한 주택이라고 하면서 발표해 줄 것을 권하더군요. 담당 교수는 한국에 한번 왔던 경험이 있었습니다. 이것이 우리 주택에 관심을 갖는 동기가 됐지요.”

그러던 1978년 정부의 요청으로 귀국한 그는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주택연구실장으로 있으면서 행정수도 주거지 계획과 주거 관련 여러 연구를 수행하면서 우리나라의 주택과 주거지 패턴에 대해 본격적으로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임 교수는 “그때 행정수도에 대한 보고서 작성까지 마쳤다.”면서 10·26사건으로 행정수도 계획이 백지화되자 1980년대 초 대학으로 옮기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달 교수정년을 맞지만 2학기 때부터 대학원에서 이번에 출간한 책을 토대로 강의를 계속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한국인이 꿈꾸는 도시 주거환경에 관심을 두고 더욱 연구에 매진할 생각”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임 교수는 서울대 건축학과 졸업 후 캐나다 토론토대학원에서 석사를, 서울대 건축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는 ‘건축계획론’ ‘주거론’ ‘21세기에는 이런 집에서 살고 싶다’(이상 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주거공간의 의미’ 등 다수가 있다.

김문 편집위원 km@seoul.co.kr
2011-08-20 19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