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저자와 차 한잔] 실명소설 ‘명동시대’ 펴낸 안도섭 시인

[저자와 차 한잔] 실명소설 ‘명동시대’ 펴낸 안도섭 시인

입력 2011-05-21 00:00
업데이트 2011-05-21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극적 한국현대사 실명작품 드문 것은 너무나 안타까운 일”

작가들은 대체로 실명(實名)소설 쓰기를 꺼린다. 자칫 실존 인물의 과대한 평가나 평가 절하의 위험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격랑의 회오리로 점철된 한국 현대사의 편린들을 담은 문학 작품이 희귀한 것도 그런 이유에서일 것이다. 역사의 엇갈리는 평가와 여전히 진행 중인 그 후유증, 그리고 문학작품으로 평가될 실존 인물들의 입장…. 1958년 조선일보와 평화신문 신춘문예에 나란히 시가 당선돼 등단한 안도섭(78) 시인이 낸 ‘명동시대’(글누림 펴냄)는 그런 점에서 눈길을 끈다. 서울 명동을 배경으로 100명이 넘는 문인, 예술인을 실명으로 등장시켜 해방 전후의 문단 이야기를 담은 첫 소설이란 점에서 문단 안팎의 관심을 적지않게 모으고 있다.
이미지 확대
안도섭 시인
안도섭 시인


“일제의 억압·사슬에서 벗어난 해방, 해방 직후의 좌우 대립, 민족상잔의 6·25전쟁과 분단…. 우리는 세계사적으로도 흔치 않은 결정적 문학 소재들을 태산같이 안고 있습니다. 그런데도 그것들을 문학으로 끌어들인 실명의 작품이 드문 것은 비극적인 역사만큼이나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책 출간에 맞춰 서울신문사 회의실에서 만난 저자 안도섭 시인은 우리 문단·문인들의 태만과 직무유기를 먼저 꼬집었다. “누군가는 실제 겪었던 일을 증언해야 하고 그 증언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적지 않을 것입니다.” 서울 명동은 해방정국과 좌우 대립, 전쟁 포화로 인한 폐허 속에서도 숱한 문인들이 모여 사랑을 노래하고 예술을 부르짖었던 문인들의 단골 아지트. ‘명동시대’는 바로 그 문화 특구를 겨냥해 그 속에서 부대끼며 죽고 살았던 문인들의 숨은 이야기를 생생하게 풀어낸다.

‘명동신사’ 박인환, ‘명동백작’ 이봉구 등 당대를 풍미했던 문인·예술인의 공개되지 않은 면모와 열정을 그대로 들여다볼 수 있는 다큐멘터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명소설은 허구에 바탕하지만 실존 인물을 그린다는 점에서 팩트(사실)를 크게 벗어날 수 없는 한계를 지닌다. 그렇다면 저자 안도섭 시인도 그 위험과 부담에서 자유롭지 않았을 터. “직접 교류하고 겪었던 당사자들의 증언을 거듭거듭 확인하고 사방으로 흩어져 있던 자료들을 일일이 발품을 팔아 정리했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그렇다면 저자가 ‘명동시대’에서 말하려는 궁극의 메시지는 무엇일까. “가파르고 험악한 격동의 시대에 가난한 문인들이 명동을 드나들며 술잔을 기울인 것은 치열한 예술혼의 공감이고 그 끈을 놓을 수 없다는 끈끈한 우정과 사랑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저자가 등단한 1950년대 후반만 해도 활동 문인이 넉넉잡아 200명 정도였던 데 비해 지금은 시인만 1만∼2만명에 달할 만큼 수적인 확산을 이루었다는 우리 문단. “양적 팽창이 꼭 질적 저하를 부르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명동시대’를 살았던 문인·예술인들의 예술혼과 끈끈한 유대는 쉽사리 찾아볼 수 없다고 봐야지요.” 결국 저자는 사라진 ‘명동시대’가 공간의 실종을 넘어선 정신과 영혼의 쇠퇴임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글 김성호 편집위원 kimus@seoul.co.kr

사진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2011-05-21 18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