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로 다시 부른 10년 전 사진 한장…

히말라야로 다시 부른 10년 전 사진 한장…

입력 2011-02-26 00:00
업데이트 2011-02-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연 언젠가 만날】 이해선 지음 꿈의지도 펴냄

그는 이해선이다. 아니 ‘군장돌마’다, 그곳에서만큼은. 우리네 순자, 명자, 영자처럼 흔한 이름인 군장돌마가 되어 떠돌며 사람들을 만나고, 사진을 찍고, 글을 쓰며 기억을 차곡차곡 쌓았다.

이미지 확대
히말라야 라다크에서 만난 여인 스칼장 아몽.
히말라야 라다크에서 만난 여인 스칼장 아몽.
그리고 10년이 지나 그곳을 다시 찾아 먼지 더께를 털어내며 하나씩 기억을 끄집어냈다. 손때 묻고 빛바랜 기억들은 곧바로 오늘의 것이 되어 그리움과 외로움, 반가움의 이미지로 현현했다.

‘인연 언젠가 만날’(꿈의지도 펴냄)은 사진작가이자 에세이스트인 이해선이 인도 히말라야 산맥 한 골짜기에 있는 라다크를 찾아 만난 사람들, 풍경들, 기억들에 대한 이야기다.

2000년, 그리고 2010년의 방문, 아니면 그보다 훨씬 과거의 방문…. 여행기지만 그냥 여행서라고 부를 수도 없고, 상처투성이 영혼의 치유를 이뤄내고 왔지만 보통 영적 순례기처럼 알듯 모를 듯한 잠언들로 채우지도 않았다. 대신 구체적인 인연과 기억, 경험과 추억의 주체가 되는 사람이 한가득 담겨 있다.

라다크식 막걸리라고 할 수 있는 ‘창’에 보릿가루 ‘참바’ 한 줌을 타서 휘휘 저어 마시는 것으로 한 끼니 삼는 마부들, 친구의 구멍 난 모자 기워준 것을 보더니 자기 것도 기워 달라며 일부러 손가락 구멍 만들어 내미는 어린 라마승들, 황량하고 적막한 골짜기 돌투성이 길을 운전하다 과로로 쓰러진 뒤 배낭에서 꺼낸 우황청심환 한 알에 명의 보듯 바라보는 버스기사….

모두 군장돌마의 낯설지만 오래된 인연들이다.

10년 만의 두 번째 히말라야 여행은 한 장의 사진에서 시작됐다. 라다크에서 만난 동갑내기 여인 ‘스칼장 아몽’의 사진을 뒤늦게 그 가족에게 보냈더니, 꼭 한 번 다시 찾아달라고 간곡히 요청해온 것.

그렇게 다시 찾은 라다크에서 그는 자신에게 군장돌마라는 이름을 지어준, 돌가루로 만다라를 만들던 노승(僧) 롭상 눌보와 재회했다.

10년 전 “야크를 타보라.”고 순진한 낯빛으로 권했던, 사진 한 장으로 남은 이름 모르는 소년 라마승을 찾았으나 테러로 희생됐다는 가슴 아픈 소식도 접한다.

그는 라다크에서 ‘원형질의 고독’을 봤노라고 얘기한다. 절벽 동굴에 부닥쳐 풀썩거리는 바람소리와 어우러진 만월의 빛은 외로움의 극단을 맛보도록 등을 자꾸 떠밀고 결국 한 마리 짐승처럼 그를 워우워우 울게 만들었다. 1만 4000원.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2-26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