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하면 과태료 물린대’…동물등록 열풍

‘안하면 과태료 물린대’…동물등록 열풍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8-06 21:13
업데이트 2019-08-06 21: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태료의 위력은 대단했다. 정부가 9월 동물등록 단속에 앞서 7~8월 두 달 간 자진신고를 받는 가운데 동물등록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동물등록 활성화 자진신고 기간을 운영한 결과 지난 7월 한 달 동안 12만6천393마리가 등록됐다고 6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월평균 등록 실적인 1만2천218마리의 10.3배에 달하는 규모다. 또 지난해말 현재 등록된 130만4077마리의 10%에 육박하는 규모다. 지난 한 해 유실유기동물 숫자와도 맞먹는다.

지역별 등록 건수를 보면 반려견이 제일 많은 경기도가 3만5천959마리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 2만3천407마리, 인천 9천154마리, 경북 8천542마리, 부산 7천516마리 등 뒤따랐다. 대체로 반려견이 많은 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등록 방식으로는 무선식별장치를 몸 안의 넣는 방식의 내장형 칩이 6만4천924마리(51.4%)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무선식별장치를 목줄 등에 거는 외장형이 3만9천276마리(31.1%), 인식표는 2만2천193마리(17.6%)로 각각 집계됐다.

지난해 전체적으로 내장칩을 택한 보호자들은 61%였다. 동물등록을 급하게 하면서 우선 잃어버렸을 때 막상 찾기는 어렵지만 등록은 간편한 외장칩과 인식표 등록도 많이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동물등록을 하지 않으면 최대 1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물리고 변경 신고를 하지 않으면 5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농식품부는 다음달부터 전국 지자체, 유관단체 등과 합동으로 점검반을 꾸려 현장 지도 및 단속을 벌일 계획이다. 자진신고기간 중 동물등록은 시·군·구, 동물등록대행기관, 동물보호관리시스템을 통해 가능하다. 변경등록은 동물보호관리시스템을 이용하면 된다.

노트펫(notepet.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