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 100년을 돌아보다

한국화 100년을 돌아보다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0-05-20 11:16
업데이트 2020-05-20 11: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울산서 특별전

고희동 ‘갑신 접하일하’.
고희동 ‘갑신 접하일하’.
전통회화인 한국화의 흐름을 한눈에 돌아보는 전시가 마련된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은 22일부터 6월 13일까지 울산문화예술회관에서 ‘한국화 100년 특별전’을 연다. 1970년대 최고 호황기를 누렸으나 서양화와 여타 장르에 밀려 설 자리가 줄어든 한국화의 과거와 현재를 짚어보고, 미래를 모색하는 자리다. 1부 한국화의 전통, 2부 한국화의 개화, 3부 한국화의 확장, 4부 아카이브의 증언으로 꾸며졌다.

지운영, 고희동, 이상범, 박생광, 천경자, 송수남, 이종상, 황창배, 김호석, 김선두, 임태규 등 한국화가 55명의 작품이 전시된다. 첫 서양화가인 고희동이 대홍수가 일어났던 1944년 여름을 그린 ‘갑신 접하일화’, 공필채색화로 유명한 김은호의 ‘승무’, 1세대 여류화가 금동원이 1962년 홍콩국제회화살롱에서 입상한 ‘음’ 등을 만날 수 있다. 변관식의 ‘내금강 보덕굴’, 김정현의 ‘부여 수북정 소견’, 황창배의 외로운 섬 ‘독도’, 이호신의 ‘운주사’ 등도 눈길을 끈다.
1968년 ‘한국의 빛, 프랑스전’ 포스터.
1968년 ‘한국의 빛, 프랑스전’ 포스터.
아카이브 자료도 풍성하다. 이응노가 제자 금동원에게 쓴 육필 편지, 김기창이 이탈리아에서 보낸 우편엽서를 비롯해 해강 김규진의 1910년대 ‘묵란첩’과 ‘신편 해강죽보’ 등 화집, 1968년 ‘한국의 빛, 프랑스전’ 포스터와 팸플릿 등 100여점이 나왔다. 전시를 기획한 김달진 박물관장은 “우리 한국화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높여 새롭게 부흥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