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아트와 만난 아노미·앤디워홀

팝아트와 만난 아노미·앤디워홀

입력 2014-11-25 00:00
업데이트 2014-11-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대표 팝아트 작가 이동기 개인전…진화랑서 국내 신예 작가들 작품 소개

팝아트는 상품 광고와 대중문화 스타, 만화나 드라마 속 주인공 등 현대 소비사회를 반영하는 대중적 이미지들을 예술의 한복판으로 끌어들인 미술 사조다. 우주 소년 아톰의 머리와 미키마우스의 얼굴을 절묘하게 조합한 ‘아토마우스’로 이름을 알린 한국의 대표 팝아트 작가 이동기는 서울 종로구 사간동 갤러리현대 신관에서 26번째 개인전을 열고 지금까지 고민해 온 주제가 어떻게 확장되고 있는지를 보여 준다. 이번 전시 제목은 ‘무중력’이다. 모두가 영향을 받는 ‘중력’, 혹은 고정관념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날아다니고, 뒤섞이고, 사라지고, 튀어나오는 이미지의 아노미 상태를 보여 주겠다는 작가의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이미지 확대
이동기의 드라마 시리즈 중 ‘욕조 속의 여인’(2014).  갤러리현대 제공
이동기의 드라마 시리즈 중 ‘욕조 속의 여인’(2014).
갤러리현대 제공


앤디 워홀의 대표작 메릴린 먼로와 케네디의 이미지를 동전과 우표에 담은 지호준의 작품(왼쪽)과 최잔의 ‘캠벨수프 캔 세트’.   진화랑 제공
앤디 워홀의 대표작 메릴린 먼로와 케네디의 이미지를 동전과 우표에 담은 지호준의 작품(왼쪽)과 최잔의 ‘캠벨수프 캔 세트’.

진화랑 제공


그는 전시에서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아토마우스’뿐 아니라 ‘절충주의’ ‘드라마’ ‘추상’, 가수 싸이와 모 대기업 회장을 그린 ‘초상’ 연작 등 신작 회화 20여점을 선보인다. ‘파워세일’이라는 제목의 작품으로 선보인 ‘절충주의’는 대중 매체에서 생산돼 ‘홍수처럼 쏟아지는’ 이미지들을 무작위로 조합한 시리즈다. ‘드라마’는 작가가 해외 사이트에 소개된 한국 드라마의 캡처 장면을 수집해 이를 다시 화폭으로 옮긴 것이다. ‘절충주의’와 ‘드라마’가 우리가 생활하는 현실을 그대로 카피한 작품이라면 2008년부터 선보인 ‘추상’은 작가의 내면을 반영한 작업들이다. 이동기는 “현대 미술이 개념적인 것을 강조하면서 작가가 어떤 하나의 개념을 명확하게 보여 주는 것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저는 현대미술에 대한 막연한 고정관념과 그런 방식 자체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싶다”면서 도리어 “작가가 한 가지 콘셉트로 일관성 있게 작업한다는 게 가능한가”라고 반문했다. 전시장에는 아무것도 그려지지 않은 텅 빈 캔버스가 액자에 담긴 ‘작품’도 걸려 있다. “현대미술이 과연 개념을 제시하는 걸로 끝나는 미술인지, 작가가 무엇을 만든다는 게 어떤 건지에 대해 포괄적인 질문을 하는 작업”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전시는 새달 28일까지. (02)2287-3500.

서울 종로구 통의동 진화랑에서는 팝아트의 전설로 불리는 앤디 워홀과 그로부터 영감을 받은 국내 신예 팝아트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인다. ‘워홀과 친구들’이라는 제목으로 앤디 워홀의 ‘폭스바겐’(1985), ‘수프 드레스’(1966) 등 작품과 미디어 및 인터랙티브아티스트 하석준, 강석호, 루나 이정은, 임안나, 지호준 등 젊은 작가들이 다양한 매체를 사용해 시도한 작품들이 소개된다.

이번 전시는 보드카 브랜드 앱솔루트의 ‘앤디워홀 에디션’ 출시를 기념한 특별기획전이다. 투명한 유리에 투박한 디자인의 앱솔루트 병은 앤디 워홀에게 영감을 주었고, 이는 1985년 ‘앱솔루트 워홀’이라는 콜라보레이션 작품으로 탄생했다. 첫 번째 앱솔루트 아트 광고가 됐고, 앱솔루트가 전 세계 수천 명의 아티스트와 진행한 다양한 예술적 교류의 시작점이 된 앤디 워홀의 페인팅 작품은 앤디 워홀 파운데이션과의 협업을 통해 28년 만에 실제 병에 구현됐다. 전시는 새달 4일까지. (02)738-7570.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2014-11-25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