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장판 된 경복궁의 밤… “야간개장 상설화·관람객 제한” 목소리

난장판 된 경복궁의 밤… “야간개장 상설화·관람객 제한” 목소리

입력 2013-06-07 00:00
업데이트 2013-06-07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루 4만명… 돗자리 깔고 술판 ‘아찔’

지난달 22~26일 실시한 닷새간의 ‘경복궁 야간개장’이 두고두고 관람객들 사이에서 회자되고 있다. 문화재청이 지난 2010년부터 5월과 10월에 5~6일씩 개방해 온 경복궁의 야경은 지난해부터 입소문을 타면서 올해는 하룻밤에 4만명이 몰려 사상 초유의 인산인해를 이뤘다. 문화재청은 뒤늦게 인터넷 예매 3만명, 현장 판매 1만명으로 관람객 수를 제한했으나 역부족이었다. ‘피크’를 이룬 25일에는 아예 예매가 중단됐다.
야간개장을 실시한 지난달 22일 서울 경복궁 근정전 앞에 고궁의 야경을 즐기러 온 사람들이 오가고 있다.  손형준 boltagoo@seoul.co.kr
야간개장을 실시한 지난달 22일 서울 경복궁 근정전 앞에 고궁의 야경을 즐기러 온 사람들이 오가고 있다.
손형준 boltagoo@seoul.co.kr


여기에 경회루와 근정전 인근까지 돗자리를 깔고 술을 마시던 시민의식이 도마에 올랐다. 경복궁 밖 광화문 주변에선 액화석유가스(LPG)를 사용하는 노점이 늘어서 안전사고의 위험을 높였다. 관람객 최희윤씨는 “문화재는 화려한 불빛에 빛났지만 시민 의식은 어둠 속에서 자취를 감췄다”고 지적했다.

안팎에선 경복궁 야간개장의 상설화나 관람객 제한 등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당분간 현행대로 5, 10월에 야간개장을 하되 차츰 매주 지정된 요일에만 입장객을 받거나 지금처럼 야간개장을 하더라도 추첨 등을 거쳐 훨씬 적은 수의 인원만 받자는 이야기도 나온다. 야간 입장료 현실화까지 거론된다. 주간과 같은 3000원의 입장료를 다소 비싸게 책정하면 자연스럽게 입장객 수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아이디어다. 대신 관람에서 소외된 취약계층에게 초대권이나 할인 서비스 등을 제공하자는 대안이 제시됐다.

현재 문화재청은 대책 마련에 나선 상태다. 야간개장 기간을 늘리자는 여론이 높지만 현행대로 기간을 맞추되 인원수를 조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최이태 궁능문화재 과장은 “입장료 인상은 기획재정부가 결정권을 갖고 있고, 야간개장 확대는 인력과 안전 문제가 선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06-07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