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 조각 첫 문화재 등록예고

근·현대 조각 첫 문화재 등록예고

입력 2012-04-17 00:00
업데이트 2012-04-17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송설당 상’ ‘러들로 흉판’ 2점

문화재청은 근현대기에 제작된 조각 중 ‘최송설당 상’(왼쪽·1905)과 ‘러들로 흉판’(오른쪽·1938)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최송설당 상’은 영친왕 이은의 보모로 궁중생활을 한 후 전 재산을 내놓아 김천고등보통학교(1931년)를 설립한 최송설당(1855~1939)의 전신상이다. 동경미술학교에서 목조각을 전공한 후 홍익대에서 후학을 양성한 윤효중(1917~1967)이 제작했다. 국내 현존하는 전신 동상 중 가장 이른 시기에 만들어졌다고 알려졌다. 용접기술이 발달하기 전 동상 제작에 사용한 기술을 추측하는 자료로서 높이 평가된다.

‘러들로 흉판’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조각가 김복진(1901~1940)이 26년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교수 등을 지낸 알프레드 어빙 러들로(1875~1961) 박사의 모습을 새겨 만든 작품이다. 원래 세브란스 외과병동에 걸려 있던 이 작품은 현재 연세대 동은의학박물관로 옮겨져 보관되고 있다. 인물 표현이 사실적이면서 섬세한 것이 특징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우리나라 조각품 대부분이 일제강점기에 반출되고 6·25 전쟁으로 사라졌다.”면서 “근현대시기 조각품을 문화재로 등록 예고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문화재청은 현재 이 시기 조각품 중 30여개 작품을 문화재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시기상 오래된 것부터 문화재 등록을 할 계획이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04-17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