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 은밀한 사생활 훔쳐보기

조선왕조 은밀한 사생활 훔쳐보기

입력 2011-06-29 00:00
업데이트 2011-06-29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궁박물관 창덕궁 특별전

창덕궁은 1405년(태종5)에 지어졌다. 가장 오랜 시간 동안 국정운영의 중심 공간이면서 효(孝)와 예(禮)를 행하는 곳, 왕은 물론 관료들이 국사를 논하는 곳, 왕과 왕비가 농사와 양잠을 직접 체험해 보는 곳이기도 했다. “조선 철학의 핵심을 담은, 가장 조선적인 궁궐”이라는 게 정종수 국립고궁박물관장의 설명이다.

이미지 확대
처음 공개된 조선시대 왕의 이동식 용변기
처음 공개된 조선시대 왕의 이동식 용변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기도 한 창덕궁의 속살이 공개됐다. 고궁박물관이 28일 시작한 ‘창덕궁, 아름다운 덕을 펼치다’ 특별전을 통해서다. 8월 28일까지 두 달간 계속된다. 궁중 수라간에서 사용했던 은으로 만든 솥, 왕의 이동식 용변기 등을 실물 그대로 확인할 수 있다. 궁궐에서 쓰였던 생활도구들이 공개된 것은 처음이다.

창덕궁은 조선왕조 법궁(法宮)이자 서궐(西闕)에 해당하는 경복궁과 대비해 동궐이라고 불렸다. 특별전에서는 이런 창덕궁을 조감도 형식으로 그린 그림인 국보 249호 동궐도(東闕圖)를 만날 수 있다. 동궐도를 애니메이션으로 재현한 영상물도 볼 수 있다.

창덕궁 주요 전각의 성격을 알 수 있는 문효세자책봉의례도(文孝世子冊封儀禮圖) 등 기록화와 각 전각에서 행해졌던 역사적 사건 등을 살펴볼 수 있는 궁궐지, 헌종가례도병(憲宗嘉禮圖屛, 보물 제733호)·갑인춘친정도(甲寅春親政圖) 등 창덕궁에서 행해졌던 행사 그림, 중희당 등 이미 사라진 전각 현판 등 대표유물 100여점도 나왔다.

정 관장은 “고궁을 주제로 한 최초의 특별전”이라면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정을 계기로 창덕궁의 역사와 의미, 궁궐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리기 위해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의 창덕궁 관람이 건물 중심이었다면 이번에는 속살을 들여다 볼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라는 말도 덧붙였다. 자세한 전시 일정은 고궁박물관 홈페이지(www.gogung.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무료. (02)3701-7633~4.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1-06-29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