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석가·공자 진리의 실체는 똑같아”

“예수·석가·공자 진리의 실체는 똑같아”

입력 2010-03-17 00:00
업데이트 2010-03-17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철학자 다석 류영모 ‘마지막 강의’ 책으로 출간

1971년 8월12일, 당시 81세의 노()철학자 다석(多夕) 류영모(1890~1981)는 한국 기독교 최초의 자생적 금욕 수도 공동체로 평가받는 광주광역시 동광원(東光園)에서 수사, 수녀들을 상대로 일주일간 강연을 열었다. 동광원은 ‘속죄 신앙’(예수가 흘린 보혈로 속죄받는다는 신앙)을 믿는 정통 기독교인들이 생활하는 곳. 반면 다석은 예수를 신앙의 대상이 아닌 ‘스승’으로 여겨야 한다고 믿는, 이질적인 신앙인이었다. 그러나 다석은 생애 마지막 강연을 통해 동광원 수도자들을 명쾌한 진리의 세계로 인도하며 다석 사상의 정수를 보여준다.

동광원의 수사 김용래가 이 강연을 녹음한 사실이 2000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알려졌고, 다석의 제자 박영호가 최근 이를 풀어 책으로 출간했다. ‘다석 마지막 강의’(교양인 펴냄)다.

이미지 확대
1970년대 후반 말년의 다석이 서울 구기동 자택 앞길에서 사색에 잠긴 채 완보하고 있다. 교양인 제공
1970년대 후반 말년의 다석이 서울 구기동 자택 앞길에서 사색에 잠긴 채 완보하고 있다.
교양인 제공
●종교간 구분은 미혹에 불과

16세에 기독교 세례를 받은 다석의 종교관은 일원다교(一元多敎), 즉 ‘가르침은 여럿이지만 진리는 하나’라는 말로 압축된다. 다석은 평생 예수를 스승으로 섬겼으나 성경만 금과옥조로 여기는 사고방식과는 거리가 멀었다. 석가, 노자, 장자, 공자, 맹자, 소크라테스 등 인류 역사 속의 ‘깨달은 이’는 시대와 지역을 가리지 않고 스승으로 삼았다. 다석 사상의 관점에서 종교 간 구분과 갈등은 전체를 보지 못하는 이들의 미혹(迷惑)에 불과했다.

다석은 책 제1장 ‘사서삼경 모르면 성경도 모른다’를 통해 “하느님은 온통(全體)이시다. 하느님의 자리에 서면 남(他, 敵)이 없다. 모두가 하나이다. 그런데 사람들은 온통에 이르지 못하고 부분(部分)에 갇혀 있다. 이것을 미혹이라고 한다. 가족, 혈연, 지역, 민족, 종교만 하나라고 주장하는 것은 미혹에 빠진 것”이라고 일갈한다. 하느님의 생명인 얼(성령)을 공자는 덕(德)이라 하고, 석가는 법(法)이라 하고 노자는 도(道)라 하고, 예수는 얼(靈)이라고 하는 등 진리를 일컫는 이름만 다를 뿐 실체는 똑같다는 것이다.

●평생 금욕·절제 실천한 철학자

사상가 함석헌(1901~1989)의 스승으로 알려진 다석은 은둔 생활 때문에 세상이 미처 알아차리지 못한 인물. 일일일식(一日一食)과 좌선 명상을 통해 동서양 고금의 경전을 관통한 한국의 대표적 철학자로 평가받는다. 저녁 석(夕)자만 세 개 모여 이뤄진 호(多夕)는 저녁에 한 끼만 먹는다는 그의 금욕적 삶을 그대로 담고 있다.

●‘다석일지’ 외 저서 안남겨

독특한 종교 철학을 세운 당대의 석학이었지만, 다석은 매일 기록한 ‘다석일지’ 외 다른 저서를 남기지 않았다. 지금 나와 있는 다석과 관련된 책들도 제자들의 기록이거나 다석 사상 해설서가 전부다. 그나마 1956~1957년 서울 YMCA 강의 속기록 전문을 다듬어 출간한 ‘다석강의’가 그의 철학을 비교적 생생하게 기록했다는 점에서 중요 자료로 인정받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이 책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가공되기 전 원석과 같은 다석 사상의 요체를 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책은 다석 강의 녹음 테이프 가운데 음질 상태가 좋은 5개를 골라 CD로 만들어 첨부했다. 2만 2000원.

손원천기자 angler@seoul.co.kr
2010-03-17 2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