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실검 1위 ‘회오’

日 실검 1위 ‘회오’

입력 2015-08-15 00:02
업데이트 2015-08-15 00: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소 잘 안 쓰는 어려운 단어 등장… 사죄 수준 놓고 한·일 뉘앙스 차 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14일 패전 70년을 하루 앞둔 아베 담화에서 ‘회오(悔悟)의 염(念)’이라는 어려운 말을 썼다.

아베 총리는 “어떠한 무력의 위협이나 행사도 국제 분쟁을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두 번 다시 써서는 안 된다. 식민 지배로부터 영원히 결별하고 모든 민족의 자결의 권리가 존중되는 세계가 돼야 한다”면서 “과거 전쟁에 대한 깊은 회오의 염과 함께 일본은 그렇게 맹세했다”며 회오라는 단어를 등장시켰다.

1990년 당시 노태우 대통령의 방일 때 아키히토 일왕이 환영 만찬에서 ‘통석(痛惜)의 염’이란 단어로 반성과 사죄의 뜻을 표현했는데, 사죄의 수준을 놓고 논란이 된 바 있다. 일본에서는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는 뜻인데, 한국에서는 “몹시 애석하다”는 뜻으로 뉘앙스와 격이 달라 사죄의 단어로 모자란 게 아니냐는 지적이었다. 아베 총리도 일왕이 썼던 ‘통석의 염’을 이날 담화에서 한 차례 표현했다.

아베 총리가 쓴 회오란 단어는 한국 사전에는 “잘못을 뉘우치고 깨달음”으로 돼 있다. 일본 사전에는 “자신이 한 일이 잘못됐다는 것을 인정하고 후회하는 것”이라고 풀이돼 있다. 일본에서는 담화 직후 ‘회오의 염’이 인터넷에서 실시간 검색어로 급상승하고 트위터와 페이스북에서도 “잘 들어 보지 않은 단어”라고 큰 관심을 모았다.

도쿄 황성기 특파원 marry04@seoul.co.kr

2015-08-15 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