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피 전략은 목숨 건 도박” 美 회의론… 매파는 자신감

“코피 전략은 목숨 건 도박” 美 회의론… 매파는 자신감

한준규 기자
입력 2018-02-01 22:54
업데이트 2018-02-02 09: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헤이글 前국방 등 잇따라 반대…빅터 차 낙마와 맞물려 이슈화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한국석좌의 주한 미국대사 낙마 이유가 백악관 대북 강경파의 ‘코피(bloody nose) 전략’ 반대로 알려지면서, 이를 둘러싼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코피 전략’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시설들을 정밀 타격하는, 즉 코피를 터트리는 수준의 선제공격으로 본격적인 전쟁 발발을 막는다는 일종의 ‘예방적 공격’을 뜻한다.

척 헤이글 전 미 국방장관은 31일(현지시간) 디펜스뉴스에 “코피 전략은 수백만명의 목숨을 건 도박”이라면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더욱 현명해져야 한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밝혔다. 켈리 멕사멘 전 미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대행은 지난달 30일 상원 군사위원회의 한반도 관련 청문회에서 ‘한반도에서 전쟁이 북한의 미국 본토 공격보다 낫다’는 주장에 대해 “북한이 이미 미국인 수백만명이 사는 하와이와 괌에 대한 공격 능력을 확보한 상태”라면서 “미국이 북한을 선제공격하면 하와이와 괌 등 미국 영토의 안전도 위험해진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의원들도 코피 전략 비판에 가세했다. 태미 덕워스(민주·일리노이) 상원의원은 “전쟁에 반대하는 것이 주한 미 대사 결격 사유가 되는 시점에 이르렀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워싱턴의 대북 ‘매파’들은 최근 ‘코피 전략’에 더욱 ‘자신감’을 드러내고 있다. 폴 셀바 미 합참 차장은 이날 워싱턴DC에서 만난 기자들에게 “미군은 북핵 기반시설 대부분을 파괴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말했다. 또 이날 미국 핵추진 항공모함 칼빈슨호가 평창올림픽의 안전을 위해 미국령 괌에 도착했으며, 최근 미 공군 B52 전략폭격기 등도 괌에 배치됐다. 이런 군사적 움직임은 ‘코피 전략’ 명령이 떨어지면 수행할 준비를 마쳤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워싱턴 정가 일각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첫 연두교서에서 북한에 대한 호전적 발언 대신 끔찍한 인권탄압을 강조한 것은 ‘코피 전략’ 식 선제공격의 도덕적 명분 쌓기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워싱턴의 한 소식통은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군 인사 등을 중심으로 한 대북 강경파들은 ‘코피 전략’의 실질적인 준비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있는 것 같다”면서 “평창올림픽이 끝나는 3월 말에서 4월 초, 북한의 움직임이 한반도 정세의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8-02-02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